장이 흔들릴 때, 지도 한 장이 필요합니다.
그 지도가 바로 Fibonacci 지지·저항선 분석이죠. 많은 트레이더가 Fibonacci 지지·저항선 분석으로 ‘어디서 멈추고, 어디서 다시 뛸지’를 가늠합니다.
이번 글은 Fibonacci 지지·저항선 분석을 처음부터 끝까지, 실전에 맞게 담았습니다. 읽고 나면 차트의 숨은 층계를 더 선명히 볼 수 있을 거예요.
피보나치 되돌림의 핵심 원리
-
기준: 뚜렷한 고점과 저점을 먼저 고릅니다.
-
기본 레벨: 23.6%, 38.2%, 50%, 61.8%, 78.6%.
-
의미: 상승 추세에선 조정이 이 구간에서 멈추기 쉽고, 하락 추세에선 반등이 이 범위에서 꺾이기 쉽습니다.
-
61.8%: ‘황금비’로 불리는 핵심 방어선.
-
50%: 전통적 되돌림의 중간선으로 심리적 지지/저항 역할.
피보나치 확장(익스텐션)으로 목표가 잡기
-
사용 시점: 되돌림이 끝나고 재상승(또는 재하락)이 시작될 때.
-
대표 레벨: 127.2%, 141.4%, 161.8%, 261.8%.
-
활용 포인트
-
127.2%: 1차 목표가로 보수적 청산.
-
161.8%: 강한 추세의 대표 목표.
-
261.8%: 과열 구간, 분할 청산 권장.
-
실전 적용 순서(체크리스트)
-
추세 판단: 고점↘저점이면 하락, 저점↗고점이면 상승.
-
스윙 선택: 가장 최근의 “한 번에 이어진 파동”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
되돌림 진입: 38.2~61.8% 박스에서 분할 매수/매도.
-
손절 위치: 61.8% 뚫리면 다음 78.6% 또는 스윙 저점/고점 아래.
-
목표가 설정: 127.2% → 161.8% 순서로 분할 청산.
-
롤링: 목표가 도달 후 중심 추세선 위(아래) 유지 시 나머지 물량 홀드.
시장 상황별 전략 요령
-
강세 추세
-
38.2%에서 첫 진입, 50% 보강, 61.8% 방어 확인 시 재진입.
-
목표는 127.2%와 161.8%. 트레일링 스탑은 20EMA 또는 직전 저점.
-
-
박스 장세
-
61.8% 상단에서 매도·하단 38.2% 근처에서 매수.
-
돌파 신호 나오면 박스 전략을 즉시 중단.
-
-
약세 추세
-
반등의 38.2~50%는 공략 매도 존. 61.8% 돌파 시 손절.
-
다른 지표와의 조합으로 신뢰도 높이기
-
이동평균선(MA): 61.8%가 200MA와 겹치면 지지/저항 강도↑.
-
RSI: 되돌림 중 RSI가 중립(40~60) 재진입 시 재추세 가능성↑.
-
MACD: 38.2~50% 구간에서 MACD 재상승 크로스 발생 시 좋은 트리거.
-
볼린저밴드: 스퀴즈 해제와 61.8% 돌파가 동시에 나오면 강한 파동이 나올 확률↑.
리스크 관리 디테일
-
포지션 크기: 1회 진입당 계좌의 0.5~1.0% 위험 한도.
-
분할 주문: 38.2/50/61.8% 세 구간으로 나누어 체결.
-
손절 방식: 고정 pips/ATR 기반 중 하나를 미리 정해 일관성 유지.
-
가짜 신호 필터: “한 타임프레임 위”에서 추세 방향을 반드시 확인.
흔한 실수와 예방 팁
-
지나치게 가까운 스윙 선택 → 잡음 증가 → 넓은 파동으로 다시 그리기.
-
뉴스 변동성 무시 → 급격한 괴리 발생 → 이벤트 캘린더 미리 확인.
-
한 레벨 맹신 → 다중 증거(거래량, 캔들 마감, 다른 지표)와 함께 판단하기.
요약 한 컷
-
되돌림 핵심: 38.2/50/61.8% 박스.
-
목표가: 127.2% → 161.8% 순서로 분할 청산.
-
조합: MA, RSI, MACD, 밴드와 함께 보면 정확도↑.
-
원칙: 손절·분할·트레일링으로 생존이 먼저.
결론
피보나치는 ‘신비의 수열’이 아니라 ‘규율의 도구’입니다. 고점·저점을 정확히 잡고, 되돌림과 확장을 같은 규칙으로 반복하세요. 그러면 진입은 더 느려지고, 손실은 더 작아지고, 수익은 더 길어집니다. 꾸준함이 엣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