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이 다가올수록 가장 신경 쓰이는 건,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금액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금액이 세금으로 빠져나가는 것, 알고 계셨나요?
그런데 이 세금,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퇴직금을 퇴직연금(IRP)으로 이연하는 전략입니다.
그리고 이 전략이 얼마나 절세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는 도구가 바로 ‘퇴직연금이연 세액 계산기’입니다.
오늘은 이 계산기를 어떻게 활용하고, 퇴직금을 효율적으로 굴릴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퇴직연금이연이란? – 핵심 개념 먼저 정리!
퇴직연금이연이란, 퇴직금을 바로 수령하지 않고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에 이체하여 과세 시점을 미루는 방식입니다.
즉,
-
퇴직 당시에는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고,
-
연금 형태로 분할 수령할 때 낮은 세율로 과세됩니다.
(예: 분리과세 3.3%~5.5%)
이연 시 장점 요약
-
✅ 퇴직소득세 전액 or 일부 이연 가능
-
✅ 수령 시기 조절 가능 → 낮은 세율 적용
-
✅ 노후 대비 자금 마련 효과
-
✅ 세금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
퇴직연금이연 세액 계산기로 무엇을 계산할 수 있을까?
① IRP로 얼마를 이체할지에 따른 세액 변화
→ 30%, 50%, 100% 이체 시 각각 세금이 얼마나 절감되는지 시뮬레이션 가능
② 실수령액 변화 확인
→ IRP 이체 후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 장기 수령 예상액 확인
③ 전체 퇴직소득세에서 이연 가능한 금액 추정
→ 귀속연도, 퇴직금, 근속연수, 공제액 등을 반영해 자동 계산
어떤 계산기를 사용해야 할까?
1. 국세청 홈택스 모의 계산기
-
IRP 이체 항목 선택 가능
-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
-
실수령액 + 이연세액 비교 가능
2. 민간 계산기 (예: BIZSEE, 퇴직금닷컴 등)
-
이연 여부 구분 설정
-
세금 절감 효과 시각화
-
모바일에서도 사용 편리
3. 엑셀 시뮬레이터
-
IRP 금액에 따른 절세 효과 비교 가능
-
다양한 시나리오 테스트
-
고급 사용자에게 적합
계산기 입력 시 필요한 정보
-
입사일 / 퇴사일
-
퇴직금 총액
-
근속연수
-
IRP 이체 금액 (예: 전체 or 일부)
-
퇴직 연도 (2025년 기준)
IRP로 이연 시, 얼마나 절세가 될까?
예를 들어, 총 퇴직금이 8,000만 원이고,
100%를 IRP 계좌로 이체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즉시 수령 시:
→ 퇴직소득세 약 600만 원 + 지방소득세 약 60만 원 공제 -
💰 IRP로 이연 후 연금 수령 시:
→ 분리과세 적용 → 총 세금 약 250만 원 수준
📌 절세 금액 약 400만 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근속연수, 총액, 수령 방식에 따라 변동)
마무리
지금 퇴직을 앞두고 있다면, 단지 '얼마 받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수백만 원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이연 세액 계산기를 활용해 내 퇴직금, 세금, 수령 전략까지 꼼꼼히 설계해보세요.
📌 지금 미리 계산해보는 것만으로도 당신의 노후 준비는 한층 더 안정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