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설치비 면제 이벤트 한눈에|유형·주의사항·실납부액 계산까지

광고에 인터넷 설치비 면제 이벤트 한눈에라고 써 있어도, 실제 청구 방식은 제각각이에요. 

청구 자체를 0원으로 찍기도 하고, 먼저 청구했다가 사후 환급으로 상쇄하기도 하죠. 

또 인터넷만 면제인지, TV·와이파이 방문 설치까지 포함인지도 다릅니다. 

이 글은 인터넷 설치비 면제 이벤트 한눈에 보이도록 유형을 나누고, 3사 기본 설치비를 기준으로 월 평균 실납부액이 얼마나 줄어드는지까지 숫자로 보여드릴게요.

1) 기본값 먼저 잡기(평일 기준 설치비)

  • KT: 인터넷 출동비 36,000원. 주말·야간은 할증 가능. 

  • SK브로드밴드(B tv): IPTV 단독 34,100원, 인터넷과 동시 설치 22,000원, 복수단말 17,600원. 주말·공휴일·야간 25% 할증

  • LG U+: 공식 요금 안내 페이지에서 인터넷 설치비 36,300원 고지(세부는 상품/페이지별 표기).

요점: 면제 이벤트를 보셨다면, 먼저 기본 설치비가 얼마인지를 확인하세요. 그래야 “얼마를 아끼는지”가 명확해집니다.

2) 설치비 면제 ‘5가지’ 유형(헷갈림 방지)

  • A. 청구 자체 0원(완전 면제)

    • 개통 청구서에 설치비가 아예 발생하지 않음.

  • B. 선청구 후 환급/상쇄

    • 첫 달에 설치비를 청구하고, 이후 현금/상품권/요금할인으로 상쇄.

  • C. 조건부 면제(동시 설치/다회선/특정 상품)

    • 예: 인터넷+TV 동시 설치면 TV 설치비 감면/면제, 다셋톱 조건 면제 등. 

  • D. 주말·야간 할증 면제

    • 기본 설치비는 유지하되 할증분을 면제하는 이벤트. 

  • E. 장기고객/업그레이드 전용 면제

    • 예: 셋톱 교체 방문 출동비 11,000원 면제 같은 한정 프로모션.

문구에 “면제”만 적혀 있고 대상(인터넷/TV/와이파이), 적용 방식(선청구/사후 환급)이 없으면 반드시 확인하세요.

3) 실납부액에 주는 영향(얼마나 싸지는가)

  • 월 평균 실납부액 공식: {(월요금×약정개월) + 설치비} ÷ 약정개월

  • 설치비 면제 효과

    • KT: 36,000원 ÷ 36 = 월 1,000원↓

    • SKB/LG U+: 36,300원 ÷ 36 = 월 1,008원↓

  • 예시

    • 500M, 월 33,000원, 설치비 면제 → 월 평균 34,000원 → 33,000원(KT 기준).

    • TV까지 동시 설치 시, TV 설치비 감면/면제로 추가 하락 가능. 4)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복붙)

  • 면제 범위: 인터넷 / TV / 와이파이 방문 / 추가TV(중 해당)

  • 적용 방식: 청구 0원 / 선청구 후 환급 / 요금할인 상쇄

  • 조건: 동시 설치 / 다회선 / 특정 요금제 / 온라인 전용

  • 해지 규정: 설치비 면제분 ‘반환’ 조건 여부(1년 내 해지 시 등). 

  • 일정: 주말·야간 할증 면제 포함?(있으면 스케줄 유연성↑). 

  • 증빙: 이벤트 페이지 캡처/문서 보관(분쟁 예방).

5) 상황별 베스트 프랙티스

  • 인터넷만 신규: 완전 면제/선청구 환급형이면 월 1,000원대 절감. 사은품이 큰 채널과 합산 최저가로 비교.

  • 인터넷+TV 동시: TV 설치비가 동시 설치 감면/면제인지가 핵심. 요금표에 동시 설치 22,000원 같은 감면 기준이 명시되어 있어요. 이벤트가 면제까지 확장됐는지 꼭 확인. 

  • 장기고객 기기 업그레이드: 기간 한정으로 방문 출동비 면제 같은 케이스가 있음(셋톱 교체 등). 기존 고객도 이벤트 대상인지 확인. 

  • 케이블계열/특수상품(헬로비전 등): 면제 시 1년 내 해지 반환 조항이 자주 붙습니다. 해지 계획이 있으면 주의.

6) 숫자로 끝내는 비교 템플릿

  • A안(면제 없음)

    • 월요금 [ ] + 설치비/36([ ]/36) = 월 평균 [ ]원

  • B안(설치비 면제)

    • 월요금 [ ] + 0 = 월 평균 [ ]원

  • C안(선청구 후 사은품 환급)

    • 총체감 = (월요금×36 + 설치비 − 사은품 실수령) ÷ 36

  • D안(동시 설치 감면)

    • 인터넷 설치비 [ ] + TV 설치비 [감면/면제] → 합산/36

7) 꼭 나오는 질문

  • 면제인데 왜 청구서에 찍혔죠?
    선청구 후 사후 환급/상쇄형일 수 있어요. 지급 시점·형태(현금/상품권/요금차감)를 확인하세요.

  • 주말에 설치하고 싶은데 비용이 오르나요?
    일반 규정상 25% 할증이 있지만, 이벤트로 할증 면제/감면이 붙을 수 있습니다. 일정 유연하면 평일이 유리.

  • 해지하면 설치비를 다시 내야 하나요?
    면제/감면을 받았을 때 반환 규정이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특히 1년 내). 약관/이벤트 고지를 꼭 확인. 

한줄 결론

인터넷 설치비 면제 이벤트 한눈에 정리하면, 핵심은 면제 범위·적용 방식·반환 규정 세 가지예요. 위 체크리스트와 템플릿으로 월 평균 실납부액을 바로 계산해, 진짜 이득인 조합만 고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