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무약정 vs 1·2·3년 약정 월요금 비교|100M 기준 첫 달·평균 실납부액까지 깔끔 정리

이동이 잦거나 잠깐만 쓸 계획이면 무약정이 편해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 지출은 설치비가 포함된 월 평균 실납부액으로 갈립니다. 

이 글은 인터넷 무약정 vs 1·2·3년 약정 월요금 비교를 100M 기준으로 정리해, 첫 달에 얼마가 빠져나가고, 6개월·12개월을 쓰면 평균이 얼마가 되는지 바로 계산해 보여드립니다. 

읽는 내내 인터넷 무약정 vs 1·2·3년 약정 월요금 비교 관점을 유지하니, 본인 일정에 딱 맞는 조건으로 답을 뽑아보세요.

비교 전제(공통)

  • 대상: 100M 인터넷 단독(공유기·셋톱 미포함, 결합/카드/한시 프로모션 미적용)

  • 설치비(평일, 신규 1회): KT 36,000원 / SKB 36,300원 / LG U+ 36,300원

  • 계산식

    • 첫 달 납부액 = 월요금 + 설치비

    • 월 평균 실납부액 = {(월요금×이용개월수)+설치비}÷이용개월수

      • 약정 유지가 전제입니다(중도 해지 시 할인반환금 추가 청구 가능).

3사 월요금 — 100M 기준(무약정 vs 1·2·3년)

KT

  • 무약정: 39,600원

  • 1년: 34,650원

  • 2년: 29,700원

  • 3년: 22,000원

  • 설치비(평일): 36,000원

SKT/SKB

  • 무약정: 36,300원

  • 1년: 31,900원

  • 2년: 29,700원

  • 3년: 22,000원

  • 설치비(평일): 36,300원

LG U+

  • 무약정: 42,900원

  • 1년: 34,100원

  • 2년: 28,600원

  • 3년: 22,000원

  • 설치비(평일): 36,300원

첫 달 납부액(설치비 포함, 100M)

  • KT

    • 무약정 75,600원 / 1년 70,650원 / 2년 65,700원 / 3년 58,000원

  • SKT/SKB

    • 무약정 72,600원 / 1년 68,200원 / 2년 66,000원 / 3년 58,300원

  • LG U+

    • 무약정 79,200원 / 1년 70,400원 / 2년 64,900원 / 3년 58,300원

첫 달만 비싸 보이는 이유: 설치비가 1회 합산되기 때문입니다.

“평균으로 보면” 더 분명해짐 — 기간별 월 평균 실납부액

KT (설치비 36,000원 반영)

  • 무약정 6개월 사용: 39,600 + 6,000 = 45,600원

  • 무약정 12개월 사용: 39,600 + 3,000 = 42,600원

  • 1년: 34,650 + 3,000 = 37,650원

  • 2년: 29,700 + 1,500 = 31,200원

  • 3년: 22,000 + 1,000 = 23,000원

SKT/SKB (설치비 36,300원 반영)

  • 무약정 6개월 사용: 36,300 + 6,050 = 42,350원

  • 무약정 12개월 사용: 36,300 + 3,025 = 39,325원

  • 1년: 31,900 + 3,025 = 34,925원

  • 2년: 29,700 + 1,513 ≈ 31,213원

  • 3년: 22,000 + 1,008 ≈ 23,008원

LG U+ (설치비 36,300원 반영)

  • 무약정 6개월 사용: 42,900 + 6,050 = 48,950원

  • 무약정 12개월 사용: 42,900 + 3,025 = 45,925원

  • 1년: 34,100 + 3,025 = 37,125원

  • 2년: 28,600 + 1,513 ≈ 30,113원

  • 3년: 22,000 + 1,008 ≈ 23,008원

한눈 가이드|언제 무엇이 유리한가

  • 확실히 6개월 이하: 무약정 평균이 높습니다. 대안으로 선불인터넷/모바일 라우터를 함께 검토하세요.

  • 정확히 12개월: 대부분 1년 약정 평균 < 무약정 12개월 평균. 설치비를 나눠 갚는 효과가 큽니다.

  • 2년 이상: 2년·3년 약정이 평균을 눈에 띄게 낮춥니다.

  • 장비 임대료: 무약정/단기 약정은 공유기·모뎀 임대료가 붙을 수 있어 총비용이 더 올라갑니다.

  • 결합·프로모션: 휴대폰 결합/온라인 단독 할인은 약정 구간에서만 크게 작동합니다(무약정은 혜택 제한).

체크리스트

  1. 사용할 기간이 확실한가? 6/12/24/36개월 중 선택

  2. 우리 집 설치비출동 요일(주말·야간은 할증 가능) 확인

  3. 공유기/장비 임대료 포함 여부 체크(무약정·단기 약정은 유료일 수 있음)

  4. 결합 가능 회선/온라인 단독 할인 유무 확인

  5. 위 값으로 월 평균 실납부액을 다시 계산 → 최저가 확정

자주 받는 질문(FAQ)

  • Q. 무약정이면 사은품이나 결합이 그대로 되나요?
    A. 대체로 제한됩니다. 약정이 길수록 혜택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 Q. 3년 약정인데 1년만 쓰면 손해 아닌가요?
    A. 중도 해지 시 할인반환금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상품/기간/할인액에 따라 달라지므로 가입 전 고지서를 확인하세요.

  • Q. 500M·1G도 비율이 비슷한가요?
    A. 네. 속도만 달라질 뿐, 무약정 > 1년 > 2년 > 3년 순으로 월요금이 낮아지는 구조는 동일합니다.

핵심 한줄 정리

단기 편의성은 무약정, 평균 비용 절감은 3년 약정이 확실합니다. 일정이 1년 이상이면 약정 유지 + 결합/온라인 할인이 체감가를 가장 크게 낮춥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