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답입니다. 같은 공유기라도 인터넷 집 구조(평면·층간)별 속도/커버리지 팁을 안다면 체감이 확 바뀌죠.
벽 재질, 복도 길이, 층간 슬래브 두께, 전열·금속 가구 같은 변수가 신호를 꺾습니다.
이번 글은 인터넷 집 구조(평면·층간)별 속도/커버리지 팁을 배선·메시·백홀 기준으로 정리해, 오늘 바로 배치 바꾸고 속도·지연을 낮추도록 돕습니다.
기준 한 줄
-
체감 품질 = 대칭 회선 + 유선 우선(백홀) + 좋은 배치(거실 중심) + 채널/출력 튜닝
모든 구조별 팁은 이 식으로 환원됩니다.
원룸·오픈형(스튜디오/투룸 합벽)
-
공유기 위치: 집 중앙 1~1.5m, 금속장(신발장·통신단자함) 내부 금지.
-
장비: AX1800~AX3000 단일이면 충분.
-
세팅: 5GHz 우선, 80MHz 채널폭(간섭 적으면 160MHz).
-
보너스: 전자레인지·무선청소기 거치대와 멀리—노이즈 차단.
복도형(일자형·롱형, 방이 직렬)
-
공유기: 거실 중앙. 끝방이 죽으면 메시 2노드(거실↔끝방 사이 문선 상단).
-
백홀: 가능하면 유선 백홀(벽면 랜포트/천장관로). 무선 백홀은 중간 문 바로 앞에.
-
스위치: TV장/단자함에 기가 스위치 1대로 방별 유선 분배.
ㄱ·ㄷ자 평면(코너가 많은 구조)
-
메시 3점 배치: 거실(메인)–코너 직전–끝방. 노드 간 직선 가시를 만들고, 가구/벽을 비켜 배치.
-
채널: 160MHz에서 DFS로 끊기면 80MHz 고정.
-
IPTV: 셋톱은 유선, 공유기에서 IGMP 스눕핑 ON.
콘크리트 벽 두꺼움/철문·붙박이장 많음
-
안테나보다 ‘배선’: 메시 추가보다 UTP 선 한 가닥이 더 세다. CAT6 얇은 플랫 케이블로 유선 백홀 먼저.
-
AP 높이: 허리 높이 X, 가슴~눈높이 권장. 바닥·천장 밀착 금지.
복층·메종(층간 이동 필요)
-
층간 팁: 슬래브가 두꺼워 무선 감쇠↑. 각 층 1노드가 정석.
-
최선: 층간 유선 백홀(계단/실내 배관·벽 코너 몰딩 활용).
-
차선: 트라이밴드 메시(무선 백홀 전용 대역) + 노드를 계단 중간·층 경계에 배치.
단독주택(2~3층, 복합 구조)
-
메인 허브: 1층 통신함에 기가 스위치 설치 → 각 층으로 UTP 인출.
-
각 층 AP: AX3000급 1대씩, 거실 중심.
-
야외·베란다: 방수 AP는 실내 창가 안쪽에 두고 유리 반사를 이용(직사광·습기 주의).
층간·벽간 간섭 ‘생활 유형’별 팁
-
재택·화상회의: PC/노트북 유선 LAN 우선, 무선은 5GHz 전용 SSID 분리.
-
게임/콘솔: DMZ/UPnP 충돌 시 포트포워딩으로 고정, NAT 타입 체크.
-
크리에이터/클라우드 업로드: 업로드 안정이 핵심 → 대칭 500M↑ + 유선 백홀.
-
OTT/TV 다대수: 멀티캐스트 안정 위해 스위치 IGMP 스눕핑 지원 모델 사용.
바로 따라 하는 배치 레시피
-
20평대 이하: AX1800 단일 + 거실 중앙, 끝방 약하면 메시 1노드 추가.
-
30평대: AX3000 + 메시 2노드, 유선 백홀 1가닥만이라도 먼저.
-
복층: 각 층 1노드 + 유선 백홀. 안 되면 트라이밴드 메시.
-
단독 2~3층: 1층 스위치 → 각 층 AP, 공유기/스위치에는 서지 차단 멀티탭.
측정·튜닝 루틴(10분 컷)
-
유선 1G 직결로 기준 속도 확인(핑 포함).
-
5GHz 무선 측정: 거실/방/현관 3지점.
-
채널폭 160↔80MHz A/B 테스트, 더 안정인 쪽 고정.
-
메시 노드 1m씩 이동하며 최저 구간 개선.
-
스마트폰 와이파이 분석 앱으로 채널 혼잡 확인 후 수동 채널 설정.
장비·설정 체크리스트
-
Wi-Fi 6/6E(AX1800~AX3000) 이상, OFDMA/MU-MIMO 지원.
-
관리자 비번 변경, 원격관리 OFF, WPA2/WPA3.
-
펌웨어 최신화, 자동 재부팅 주기 주1회(야간).
-
단자함 허브가 100M면 기가 스위치 교체.
-
금속·거울·수조·전자레인지와 거리 두기.
Q&A
-
Q. 메시만 늘리면 해결되나요?
A. 무선 백홀은 속도 반토막이 날 수 있어요. 가능하면 유선 백홀 1가닥이 메시 1노드보다 큽니다. -
Q. 160MHz가 항상 빠른가요?
A. 간섭 적고 지원 단말이면 ‘예’. 끊김 있으면 80MHz 고정이 체감 승리. -
Q. 단자함 안에 공유기 넣어도 되나요?
A. 신호 감쇠·발열로 비추. 거실 중앙이 정답. -
Q. 벽면 랜포트가 죽었어요.
A. 단자함 허브 교체/패치케이블 재결속로 살릴 수 있습니다. 기사 방문 시 활성 포트 매핑 요청.
마무리
집 구조에 맞춘 배선과 배치가 절반입니다. 오늘 소개한 인터넷 집 구조(평면·층간)별 속도/커버리지 팁을 그대로 적용하면, 같은 장비로도 속도·지연이 안정됩니다. 다음 이사나 재배치 때도 이 체크리스트가 든든한 기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