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팩만 챙기면 끝일 것 같지만, 실제 청구는 인터넷 IPTV 부가요금(추가 셋톱/리모컨) 정리표로 관리해야 정확합니다.
거실+방 멀티룸, 음성 리모컨 교체/분실, 셋톱 임대료 차등이 쌓이면 월 체감가가 달라져요.
이 글은 인터넷 IPTV 부가요금(추가 셋톱/리모컨) 정리표 관점으로 항목을 쪼개고, 설치비 포함 월 평균 실납부액 계산까지 바로 적용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1) 추가 셋톱박스 비용 구조임대료(대수별)
-
-
1대: 기본 포함(요금제별 차등)
-
2대 이상: 추가 임대료가 대수당 붙음(일반/AI/UHD 등급별로 다름)
-
-
설치비(대당)
-
멀티룸 추가 출동비 + 배선 난이도에 따른 가산 가능
-
-
리모컨/전원·HDMI 포함 여부
-
대수 추가 시 리모컨 1개는 보통 포함, 교체/추가 구매는 별도
-
-
셋톱 등급 차등
-
일반/UHD/AI·음성형은 임대료와 전원 어댑터 규격이 다를 수 있음
-
2) 리모컨·부속 교체/추가 비용 포인트
-
리모컨: 분실/파손 시 유상 교체(음성 리모컨이 일반형보다 비쌀 수 있음)
-
전원 어댑터: 규격 불일치/분실 시 비용 청구. 타 어댑터 사용 금지
-
HDMI/랜 케이블: 추가 길이 요청 시 별도 청구 가능
-
벽브래킷/거치대: 벽걸이 설치 후 미반납/파손 시 비용 발생
3) 멀티룸 설치에서 자주 붙는 숨은 비용
-
추가 배선/몰딩: 벽/걸레받이 몰딩, 긴 구간 포설 시 가산
-
스위치/허브: 방에 랜포트가 부족하면 유선 확장 장비 비용
-
와이파이 중계기 대신 셋톱 유선 권장: 무선만 쓰면 끊김·버퍼링으로 체감 저하
4) 빠른 계산 템플릿
-
첫 달
= (인터넷+TV 월요금 + 셋톱 임대료(대수합) + 부가옵션 − 월할인) + 설치비(인터넷+TV+추가 셋톱 대수)
-
월 평균 실납부액(약정 N개월)
= {[(인터넷+TV+임대+부가 − 월할인) × N] + 설치비} ÷ N
-
사은품 반영 월 체감가
= 위 값 − (사은품 실수령 ÷ N)
입력 예시(구조 이해용)
-
기본 셋톱 1대 포함, 추가 셋톱 1대 임대 [ ]원, 추가 설치비 [ ]원
-
리모컨 교체 [ ]원, 케이블 추가 [ ]원 → 위 식에 대입
5) 상황별 체크리스트
-
아이 방에 TV 추가
-
유선 랜포트 여부 확인 → 없으면 배선/스위치 비용 포함
-
키즈 보호자 모드/시청시간 제한 설정
-
-
부모님 댁 업그레이드(음성/UHD)
-
음성 리모컨 필요성, UHD TV 호환 확인(해상도/HDCP)
-
숫자키 사용 빈도 높으면 큰 버튼 리모컨 옵션 고려
-
-
임대 vs 자가 장비 혼용
-
임대 셋톱과 자가 사운드바/리모컨 CEC 연동 충돌 체크
-
6) 비용 절감 팁(효과 큰 순)
-
대수 최소화 + 거실 셋톱 공유: 방은 OTT·크롬캐스트/스마트TV 앱으로 대체
-
유선 우선 배선: 무선 중계기보다 한 번의 유선 공사가 체감·안정·비용 모두 유리
-
리모컨 분실 방지: 벨크로/거치대 고정, 예비 건전지 준비
-
설치비 정책 확인: “면제”가 사후 환급형인지 먼저 묻기(계산식에 반영)
7) 청구서 확인 루틴(문제 줄이는 법)
-
품목별 임대료/설치비/할인 라인 아이템 확인
-
대수/모델명 일치(셋톱·리모컨)
-
교체/추가 후 감면/반납 반영 여부 체크(이상 시 접수번호로 이의)
8) 자주 묻는 질문(FAQ)
-
추가 셋톱은 꼭 유선이어야 하나요?
무선도 가능하지만 끊김이 잦습니다. 가능하면 유선 연결을 권장합니다. -
음성 리모컨으로 요금이 오르나요?
임대료가 등급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교체/추가 시 유상인 경우가 흔합니다. -
추가 설치비가 생각보다 큰데 정상인가요?
배선·천공·몰딩이 포함되면 커질 수 있습니다. 사전 견적과 문자 확정이 안전합니다. -
이사/이전 설치 시 비용은?
이전 설치 출동비 + 추가 배선 비용이 붙을 수 있으니 동시 견적을 받으세요.
한줄 결론
인터넷 IPTV 부가요금(추가 셋톱/리모컨) 정리표는 임대료·설치비·교체비를 대수 기준으로 쪼개고, 위 공식에 넣어 월 체감가로 비교하면 끝. 멀티룸은 유선, 리모컨은 분실 방지가 곧 절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