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두어 개만 지나도 체감이 뚝 떨어지죠.
그래서 이 글은 인터넷 집 구조·평수별 메시 Wi-Fi 추천과 비용을 기준으로, 우리 집 구조에 맞는 노드(위성) 수, 백홀 방식(유선/무선/전용 트라이밴드), 배치 요령, 예상 비용을 현실적으로 잡아드립니다.
읽는 동안 계속 인터넷 집 구조·평수별 메시 Wi-Fi 추천과 비용 프레임을 유지하니, 마지막엔 바로 견적을 뽑아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결정할 3가지(핵심 설정)
-
백홀: 노드끼리 연결 방식
-
유선 백홀(LAN 배선/컨트롤러 스위치): 최상 안정·최저 지연
-
무선 듀얼밴드 백홀: 간편하지만 대역폭 절반 손실 가능
-
무선 트라이밴드 전용 백홀(5GHz-2/6GHz): 설치 간편 + 손실 최소화
-
-
규격 선택
-
Wi-Fi 6(AX): 가격 안정, 500M~1G급 가정에 충분
-
Wi-Fi 6E(6GHz): 혼잡 회피·저지연, 6E 단말이 있으면 효율↑
-
Wi-Fi 7: 멀티링크·320MHz 폭, 1G↑·저지연 게임/작업에 유리
-
-
노드 수 산정(경험칙)
-
원룸/투룸(≤20평) 1~2노드
-
25~34평 아파트 2노드(무선) / 1~2노드(유선 백홀)
-
40평대·복도형·코너형 3노드
-
복층/타운하우스/단독 50평↑ 3~4노드(+ 유선 백홀 권장)
-
2) 집 구조·평수별 추천 세트 & 배치 요령
A. 원룸·소형 투룸(10~20평, 벽체 2~3면)
-
추천:
-
예산형: Wi-Fi 6 2노드(듀얼밴드), 무선 백홀
-
깔끔형: Wi-Fi 6E 1노드 + 확장기 1 또는 트라이밴드 2노드
-
-
배치: 공유기(메인)는 현관/거실 중간, 1.2~1.5m 높이. 위성은 침실 문 앞 코너.
-
예상 비용: 12~30만 원(2노드 기준, 케이블 제외)
B. 25~34평 아파트(일자/ㄱ자 구조, 방3)
-
추천:
-
간편형: 트라이밴드 2노드(전용 무선 백홀)
-
품질 우선: 유선 백홀 2노드(Wi-Fi 6E/7 섞어도 OK)
-
-
배치: 메인은 거실/통신단자함 근처, 위성은 복도 중간(방3 사이), 철제 문/현관문 직후는 피하기.
-
예상 비용: 30~55만 원(트라이밴드 2노드), 유선 백홀 공임·자재 5~15만 원 추가
C. 40평대 이상·코너형·확장형 구조
-
추천:
-
트라이밴드 3노드 또는 유선 백홀 2~3노드
-
집 안 금속/철제 문, 베란다 확장 부위가 많으면 유선 백홀 가산점
-
-
배치: 거실 ↔ 복도 중앙 ↔ 안방 문 앞 직선 라인. 노드 간 두 벽 이하로 시야 확보.
-
예상 비용: 45~90만 원(3노드), 유선 작업 10~25만 원
D. 복층/타운하우스/단독(50~80평+)
-
추천:
-
유선 백홀 3~4노드 + 스위치(멀티기가)
-
층간은 계단 상부/홀 중앙에 위성 1기 필수
-
-
배치: 각 층 중심 + 계단 홀. 지하층/차고는 별도 노드.
-
예상 비용: 70만~150만 원(장비) + 배선 공임 20~40만 원
3) “우리 집 맞춤” 배치 체크리스트
-
노드↔노드 사이 두 벽 이하, 가능하면 문이 보이는 위치
-
전자레인지/무선청소기 도크/대형 거울·금속장식 1m 이상 이격
-
높이 1.2~1.5m, 가급적 개방 공간(벽장·서랍 속 금지)
-
복도형이면 노드를 복도 중심선에, 코너엔 45°로 틀어주기
-
메시 앱 **전파 강도(링크 품질)**가 ‘좋음’ 이상 뜰 때까지 30cm 단위로 미세 조정
4) 백홀 선택 가이드(간단 공식)
-
게임/화상회의·NAS↑ → 유선 백홀 우선
-
배선 난이도↑ + 1G 이하 → 트라이밴드 전용 무선 백홀
-
원룸/소형 → 듀얼밴드 무선도 충분(노드 2기 이내)
-
2.5G 인터넷/Wi-Fi 7 단말 → 스위치/공유기 2.5GbE 포트 필수
5) 비용 계산 템플릿(복붙)
-
장비비 = (메인 노드 [ ]원) + (위성×개수 [ ]원)
-
배선/자재 = 케이블(m당 [ ]원) + 공임 [ ]원 + 스위치 [ ]원
-
총비용 = 장비비 + 배선/자재 = [ ]원
-
월 평균(36개월 사용 가정) = 총비용 ÷ 36 = [ ]원/월
-
브레이크이븐(임대 vs 구매) =
구매가 ÷ 월 임대료
→ [ ]개월 이후 구매 유리
6) 속도 안 나올 때 빠른 점검(우선순위)
-
유선 측정으로 기준값 확보(PC↔공유기 기가 랜)
-
메시 링크 품질 확인(약하면 노드 간 거리 1~2m 줄이기)
-
채널폭 80/160MHz 고정, 혼잡 채널 회피
-
유선 백홀 전환 또는 트라이밴드 모델로 업그레이드
-
구형 단말(1×1, 433Mbps) 체인인지 확인—단말이 병목일 수 있음
7) 세트 예산 가이드(모델 불문, 등급별 범위)
-
Wi-Fi 6 듀얼밴드 2노드: 12~30만 원
-
Wi-Fi 6E 트라이밴드 2노드: 30~55만 원
-
Wi-Fi 7 트라이밴드 2노드: 55~90만 원
-
추가 1노드: 등급별 8~30만 원 가산
-
유선 스위치(멀티기가): 6~20만 원, Cat6a 케이블(스마트 하이브리드/몰딩) m당 1.5~3천 원
숫자는 시장 변동 폭을 고려한 범위입니다. 핵심은 우리 집 구조에 맞는 노드 수·백홀을 먼저 확정하는 것.
8) 설치 당일 체크리스트(현장용)
-
노드 전원/어댑터 멀티탭 과부하 방지
-
앱에서 백홀 타입(유선/무선) 표기 확인
-
방별 속도(다운/업), 지연·지터 3회 측정 → 스크린샷 저장
-
가족 단말 SSID 통일(2.4/5/6GHz 스마트 연결), 구형 IoT는 별도 SSID
-
펌웨어 업데이트 후 안정성 테스트 24시간
FAQ
-
2노드로 될 줄 알았는데 모서리 방이 약해요.
중간 복도에 3노드로 보강하거나, 유선 백홀로 바꾸면 급격히 안정됩니다. -
트라이밴드가 꼭 필요해요?
유선 백홀이 가능하면 필수 아님. 무선 백홀만 쓸 거라면 트라이밴드가 체감에 유리합니다. -
Wi-Fi 7이 과한가요?
1G↑ 인터넷·NAS/클라우드 업로드·게임 저지연이 목표라면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
임대 공유기로 메시 구성이 되나요?
일부 가능하지만 모델/정책 제한이 잦습니다. 혼합 메시(자가+임대)는 피하고 한 생태계로 통일하세요.
한줄 결론
인터넷 집 구조·평수별 메시 Wi-Fi 추천과 비용의 답은 노드 수→백홀 방식→배치 순서로 정리하면 바로 나옵니다. 범위 견적을 잡고, 설치 당일 측정까지 끝내면 집 끝까지 속도가 꽂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