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는 달콤하죠. 하지만 인터넷 OTT 번들 유무에 따른 총비용 시나리오 표로 계산하면, 번들이 항상 이익은 아닙니다.
인터넷 OTT 번들 유무에 따른 총비용 시나리오 표를 쓰는 이유는 간단해요.
인터넷·IPTV·셋톱 임대료에 OTT 월정액, 설치비, 사은품, 제휴카드까지 얹으면 판이 바뀝니다.
이 글은 인터넷 OTT 번들 유무에 따른 총비용 시나리오 표를 목록형 템플릿으로 제공하고, 누구나 바로 대입해 월 체감가로 비교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1) 비교 원칙(동일 조건 고정)
-
속도/약정/구성(인터넷 단독 vs 인터넷+TV)을 같게 놓고 비교
-
OTT 품질 티어(베이직/스탠다드/프리미엄) 동일화
-
동시접속 계정 수 통일(가족 공유 여부는 별도 시나리오)
-
설치비·장비임대·사은품(현금/상품권) 포함
-
제휴카드/자동이체로 줄어드는 청구할인은 실제 충족 가능 기준만 반영
2) 한 줄 공식
-
사은품 실수령
= 현금 + (상품권 × (1 − 교환 수수료율))
-
월 평균 실납부액(약정 N개월)
= {[(인터넷+TV 요금 + 장비임대 + OTT요금 − 월할인) × N] + 설치비} ÷ N
-
월 체감가(사은품 반영)
= 월 평균 실납부액 − (사은품 실수령 ÷ N)
두 안 모두 같은 식에 넣어 낮은 값을 고르면 끝입니다.
3) 시나리오 표
S1. 인터넷 단독 + OTT 미포함(필요 시 달마다 구독/해지)
-
장점: 컨트롤 자유, 시즌 구독으로 비용 절약
-
리스크: 번들 월할인/사은품을 놓칠 수 있음
-
적합: 특정 시즌·작품만 보는 이용 패턴
S2. 인터넷 단독 + OTT 단건 구독(상시)
-
장점: 단순, OTT 앱 최신 기능 그대로
-
리스크: 통신사 번들의 추가 할인/결합을 못 받음
-
적합: OTT 한두 개만 꾸준히 보는 가정
S3. 인터넷+IPTV + 셋톱 OTT 앱 사용(번들 아님)
-
장점: 리모컨 1대로 통합, 셋톱 임대료만 추가
-
리스크: 앱 기능·화질이 셋톱 버전에 종속될 수 있음
-
적합: 채널과 OTT를 한 화면에서 쓰고 싶은 가정
S4. 인터넷(+IPTV) 통신사 번들(OTT 포함형 요금제/옵션)
-
장점: 월할인/사은품으로 총체감이 낮아질 수 있음, 통합 청구 편리
-
리스크: 번들 해지/등급 변경 시 환수·약정 변경 가능성
-
적합: OTT를 상시 쓰고, 결합할인을 최대화하려는 가정
S5. 가족 계정 공유 최적화(합법 범위 내)
-
장점: 고티어 1개를 합리적으로 사용
-
리스크: 동시접속 한도/프로필 관리 필요
-
적합: 3~4인 가족, 시청 시간대 분산
4) 숫자 감 잡는 예시(임의 값, 구조 이해용)
전제: 약정 N=36, 설치비 인터넷+TV=60,200, 셋톱 임대=4,400, OTT 스탠다드=13,000, 상품권 수수료 8%
-
S3(셋톱 앱) vs S4(번들)
-
S3:
{[(인터넷+TV 51,700 + 임대 4,400 + OTT 13,000 − 월할인 7,700) × 36] + 60,200} ÷ 36
-
S4:
{[(인터넷+TV(번들요금) 56,700 + 임대 4,400 + OTT 0 − 월할인 12,100) × 36] + 60,200} ÷ 36
-
사은품: S3=200,000 / S4=450,000 → 월 체감가에서
사은품 ÷ 36
만큼 각각 추가 하락 -
보통 **번들(S4)**이 유리해지는 지점:
(번들 요금 인상 − 번들 추가 할인) < (OTT 정가 − 사은품 격차÷36)
-
-
S1(시즌 구독) 시나리오
-
OTT 6개월만 사용:
OTT요금 = 13,000 × 6 ÷ 36 ≈ 2,166/월
-
다른 조건 동일하면 S1이 가장 낮은 월 체감이 나올 가능성 큼
-
핵심: 번들은 상시 시청에게, 시즌 구독은 선택 시청에게 유리합니다.
5) 입력 템플릿
-
약정 N개월 [ ] / 구성 [단독 | 단독+셋톱 | 인터넷+IPTV]
-
월요금(인터넷+TV) [ ] / 장비임대 [ ] / 설치비 [ ]
-
OTT: 이름 [ ], 티어 [ ], 요금 [ ], 사용개월 [ ]
-
월할인(결합/온라인/카드) [ ]
-
사은품: 현금 [ ] + 상품권 [ ](수수료 [ ]%) → 실수령 [ ]
-
월 체감 S1/S2/S3/S4/S5 각각 계산 → 최저안 선택
6) 함정 체크(돈 새는 포인트)
-
OTT 티어 착시: 번들에 낮은 티어가 들어가면 업그레이드 비용이 따로 붙음
-
설치비 면제 문구: 선청구 후 사후 환급형인지 확인(계산식에 반영)
-
셋톱 임대 누락: 번들 조합에서 종종 빠뜨리는 항목
-
상품권 100% 착시: 교환 수수료 반영해 실수령으로 통일
-
약정 중 해지/등급 변경: 번들 해지 시 환수/위약 가능성
-
동시접속 초과: 가족 시간대가 겹치면 상위 티어 필요 → 비용 재계산
7) 상황별 추천
-
채널+OTT 모두 자주 → S4 번들 우선 검토(월할인·사은품 합이 크면 승)
-
OTT만 가끔 → S1 시즌 구독 + 인터넷 단독
-
OTT 상시 + TV는 가볍게 → S3 셋톱 앱으로 통합, TV는 기본팩
-
가족 3~4인, 시간대 분산 → S5 공유 최적화(합법 범위) + 번들/단건 중 싼 쪽
FAQ
-
번들 OTT가 앱 최신 기능을 다 지원하나요?
셋톱 앱은 업데이트 주기가 다릅니다. 특정 기능(프로필·돌비·고프레임)이 중요하면 테스트 기간을 두세요. -
사은품이 크면 무조건 번들이 유리한가요?
아닙니다.사은품 ÷ 약정개월
값보다 월요금 차이가 더 크면 오히려 불리합니다. -
시즌 구독이 번들보다 좋은 케이스?
한 해 중 6개월 이하만 시청한다면 시즌 구독이 대체로 이깁니다.
한줄 결론
인터넷 OTT 번들 유무에 따른 총비용 시나리오 표는 같은 공식에 각각 넣어 월 체감가로 비교하면 끝. 상시 시청이면 번들, 간헐 시청이면 시즌 구독이 보통 승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