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연령·성별 실납부액’이 핵심인가
-
같은 실손이라도 연령·성별·특약 구성에 따라 체감 비용이 크게 달라집니다.
-
실제로 손에 나가는 돈은 세전 보험료가 아니라 세후 실납부액입니다.
-
이 글은 동일 보장 조건을 맞춘 뒤 연령·성별별로 최저가를 찾고, 내 세액공제율을 적용해 세후 금액을 산출하는 실전 루틴을 제공합니다.
비교 전 준비물(간단 체크)
-
보장 조건 통일
-
주계약: 표준 실손 기준(입원·외래·약국)
-
특약: 비급여 3종 등은 같은 조합으로 통일
-
면책/공제: 외래 최소공제·자기부담률을 동일화
-
-
납입 주기 통일
-
월납 기준으로 정리(연납·카드할인은 별도 메모)
-
-
견적 소스
-
최소 3곳 이상에서 동일 조건으로 산출(설계서 또는 앱 캡처)
-
-
개인 세액공제율/한도 메모
-
본인에게 적용되는 보험료 세액공제율 r과 연간 한도 L(제도·개인조건에 따라 상이)을 메모
-
‘세전’과 ‘세후’ 정확히 구분하기
-
세전 보험료
-
각 보험사 설계서의 월납 기본료(할인 적용 시 할인 후 금액으로 통일)
-
-
세후 실납부액(월 환산)
-
연간 기준으로 계산 후 월평균을 냅니다.
-
공식
-
연간 세전합계 = 세전 월납 × 12
-
연간 세액공제 예상액 =
min(연간 세전합계 × r, L)
-
연간 세후 실납부액 = 연간 세전합계 – 연간 세액공제 예상액
-
월 세후 실납부액 = 연간 세후 실납부액 ÷ 12
-
-
메모: r(세액공제율)·L(한도)은 개인 조건·제도에 따라 다릅니다. 본인 수치를 반드시 대입하세요.
-
연령·성별 최저가 비교표
각 항목에 세전 월납 최저가, 월 세후 실납부액, 비고를 채워 넣으세요.
조건: 보장·특약·공제 동일, 월납 기준.
-
남성 · 2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개인 r·L 적용)
-
비고: ___
-
-
여성 · 2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남성 · 3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여성 · 3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남성 · 4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여성 · 4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남성 · 5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여성 · 50대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남성 · 60대 이상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
여성 · 60대 이상
-
세전 월납 최저가: ___원
-
월 세후 실납부액: ___원
-
비고: ___
-
예시로 보는 계산(가상 수치)
-
가정
-
세전 월납: 15,000원
-
개인 세액공제율 r: 12%
-
한도 L: 연간 120,000원
-
-
계산
-
연간 세전합계 = 15,000 × 12 = 180,000원
-
연간 세액공제 예상액 = min(180,000 × 0.12, 120,000) = 21,600원
-
연간 세후 실납부액 = 180,000 – 21,600 = 158,400원
-
월 세후 실납부액 = 13,200원
-
-
해석
-
이 조건이라면 세후 체감비용은 월 13,200원입니다.
-
다른 연령·성별·플랜의 수치도 같은 방식으로 대입하면 바로 비교됩니다.
-
-
주의
-
r·L은 개인마다 다릅니다. 이 예시는 계산법 설명용 가상값입니다.
-
“최저가”를 제대로 찾는 방법
-
동일 보장 필수
-
약관 구조, 외래 최소공제, 자기부담률, 비급여 특약 조합을 완전히 맞춘 뒤 비교
-
-
부가할인 분리 기재
-
카드/자동이체/연납 할인은 별도 항목으로 적고, 기본료는 동일 기준으로 비교
-
-
갱신 리스크 메모
-
현재 최저가라도 손해율 추이에 따라 갱신 시 변동 가능. 인상 민감도를 메모
-
-
금액뿐 아니라 사용 패턴
-
외래 잦음, 비급여 빈도, 약국 지출이 다르면 체감 세후가 달라집니다.
-
-
3곳 이상 견적
-
상·중·하 가격대가 보여야 왜 저렴한지가 보입니다.
-
-
메모 습관
-
설계서 캡처, 보장 요약, 특약/공제/할인, 세전·세후를 같은 양식으로 기록
-
빠른 결정 루틴(복붙 체크리스트)
-
보장·특약·공제 동일화 완료
-
세전 월납 3건 이상 수집
-
개인 세액공제율 r·한도 L 확인
-
월 세후 실납부액으로 환산
-
연령·성별 템플릿에 최저가만 적층
-
갱신 민감도와 패턴 적합성 평가
-
최종 선택 · 1~2개월 후 사용 패턴 점검
자주 묻는 질문(FAQ)
-
세후가 항상 더 중요한가요?
-
네. 실제 체감 비용은 세후 기준입니다. 다만 공제율·한도에 걸리면 차이가 줄 수 있습니다.
-
-
카드·자동이체 할인은 어떻게 반영하나요?
-
할인 후 금액을 세전으로 두고, 연간 합계를 만들어 세후를 계산하세요.
-
-
갱신이 오르면 비교표가 무의미해지나요?
-
아니요. 동일 조건에서의 상대 순위와 인상 민감도를 함께 기록하면 다음 갱신 때도 유효합니다.
-
결론
-
최저가는 숫자가 답합니다. 세전만 보지 말고 세후 실납부액으로 환산하세요.
-
연령·성별별로 동일 보장을 맞춘 뒤 템플릿에 채워 넣으면, 오늘 바로 나에게 유리한 조합이 드러납니다.
-
마지막으로, 내 의료 이용 패턴과 갱신 민감도를 함께 보세요. 값이 낮아도 생활에 안 맞으면 비싸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