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해도 생활이 막막하다"는 청년들의 목소리, 너무 익숙하지 않으신가요? 아직도 많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조금 더 희망적인 선택지가 생겼습니다.
정부가 운영 중인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은 취업만 하면 최대 4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특히 기업도 최대 72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게 윈윈이 되는 제도죠.
2025년에는 이 정책이 한층 강화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은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의 유형, 조건, 신청 방법까지 정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 두 가지 유형 비교
1. 유형 1 – 취업 애로 청년 채용 기업 지원
- 기업 요건 : 최근 1년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인 우선지원 대상 중소기업
- 특례 기업 : 5인 미만이라도 지식서비스, 문화콘텐츠, 신재생에너지, 청년창업기업 등 해당 업종은 가능
- 청년 요건 : 만 15세~34세의 정규직 취업 애로 청년 (고졸 이하, 장기 미취업, 차상위 등 기준 충족)
- 혜택 : 청년이 6개월 이상 근속하면 기업은 최대 720만 원까지 지원금 수령 가능 (3회 분할 신청)
2. 유형 2 – 빈 일자리 업종 장기 근속 인센티브
- 기업 요건 : 5인 이상 제조업, 조선업, 해운업, 뿌리산업, 보건·복지 업종 등 빈일자리 업종 기업
- 특례 없음 : 5인 미만 기업은 지원 제외
- 청년 요건 : 만 15세~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6개월 이상 고용
- 기업 혜택 : 최대 720만 원 (유형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청)
- 청년 혜택 : 근속 18개월 후 240만 원, 24개월 후 추가 240만 원 → 총 480만 원 지급
신청 절차 & 일정 체크포인트
1. 신청 장소
고용노동부 공식 온라인 포털 고용24에서 기업 소재지 기반 운영기관 선택 후 신청
2. 신청 방법
- 고용노동부 고용24(https://www.work.go.kr/youthjob) 접속
- 사업 참여를 위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 사업 참여 신청서 작성 및 제출 (기업 기준)
- 운영기관으로부터 승인 통보 후, 정규직 청년 채용 및 고용 유지 시작
- 고용 유지 기간 충족 후, 고용24를 통해 각 회차별 지원금 신청
3. 유형 1 & 2 – 기업 지원금 신청 절차
- 청년 채용 후 정규직으로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 6개월이 되는 달의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에 1회차 지원금 신청 가능
- 이후 9개월, 12개월이 되는 달의 다음 달부터 각각 2개월 이내에 2회차, 3회차 지원금 신청
- 채용일 기준 1년 이내에 모든 지원금 신청이 완료되어야 하며, 기한 초과 시 지급 불가
4. 유형 2 – 청년 장기 근속 인센티브 신청 절차
- 18개월 근속 후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 1회차 인센티브 신청 가능 (기업이 도약장려금 1회차 수령 전제)
- 24개월 근속 후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 2회차 인센티브 신청
- 전체 인센티브는 채용일로부터 2년 되는 달의 다음 달부터 2개월 이내에 모두 신청해야 함
- 역시 기한을 넘기면 인센티브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미리 일정을 체크해두는 것이 중요
FAQ –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Q: 취업 애로 청년은 누가 해당되나요?
A: 고졸 이하, 장기
미취업, 차상위 계층,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등 조건 중 하나 이상 충족 시
해당됩니다.
Q: 5인 미만 중소기업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유형 1은 일부
업종에 한해 가능하지만, 유형 2는 5인 이상 기업만 가능합니다.
Q: 온라인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고용노동부의 고용24
포털에서 신청합니다.
마무리
취업과 동시에 480만 원을 받을 수 있다면, 이건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 새로운 기회입니다.
청년일자리 도약 장려금은 청년의 첫 직장을 더 안정적으로 만들고, 기업에게도 우수 인재를 확보할 기회를 줍니다.
지금 바로 고용24에 들어가 지원 조건을 확인해보세요. 내 미래를 위한 첫 걸음,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