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평균임금 퇴직금 계산 공식 완전정복 – 실수령액 직접 계산하기

“퇴직금은 1년에 한 달 치 월급 정도다”라고 알고 계신가요?

사실, 퇴직금 계산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중요한 개념이 바로 ‘평균임금’입니다.

📌 평균임금은 퇴직금을 포함한 각종 수당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금액이며, 잘못 이해하면 예상보다 적은 퇴직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평균임금 퇴직금 계산 공식’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글을 끝까지 읽으면 직접 실수령액 계산까지 할 수 있게 됩니다.

평균임금이란 무엇인가요?

평균임금이란,
근로자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

📘 공식

평균임금 = 3개월간 총임금 ÷ 3개월간 총일수

💡 여기서 임금에는 기본급 + 고정 수당 + 상여금(정기지급) 등이 포함되며, 비과세 식대나 교통비는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퇴직금 계산 공식 – 평균임금이 핵심!

퇴직금은 다음의 계산식을 따릅니다.

📘 퇴직금 공식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365)

예시를 들어볼게요.

[예시]

  • 최근 3개월 총 임금: 9,000,000원

  • 총 일수: 92일

  • 근속연수: 4년 180일 (총 1,640일)

① 평균임금 = 9,000,000 ÷ 92 = 약 97,826원
② 근속연수(연 단위) = 1,640 ÷ 365 = 약 4.49년
③ 퇴직금 = 97,826 × 30 × 4.49 ≈ 13,167,837원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차이

구분 평균임금 통상임금
정의 퇴직금 계산 기준 연장·야근 수당 계산 기준
산정기간 퇴직 전 3개월 통상 근무 시간 기준
포함 항목 고정급 + 일부 수당 기본급 + 정기수당

📌 퇴직금에는 무조건 평균임금이 적용되며, 통상임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평균임금 계산 시 주의사항

  • 📌 수당은 정기성과 고정성이 있는 경우만 포함

  • 📌 연차수당, 비정기 상여금 등은 제외

  • 📌 3개월 내 결근/무급휴가가 많으면 평균임금이 낮아질 수 있음

이 때문에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급여 내역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 상여금이나 고정 수당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급여 구조를 미리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퇴직금은 오랜 시간 동안 쌓아온 소중한 자산입니다. 그만큼 계산 과정도 명확하고 정확해야 하겠죠.

지금 바로 평균임금 퇴직금 계산 공식을 활용해 내가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얼마인지 직접 계산해보세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궁금한 계산 사례를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필요하시면 무료 퇴직금 계산기 툴도 소개해드릴게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