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의 후반부로 갈수록 시장은 간헐적인 급등·급락으로 우리를 시험합니다.
이때 필요한 질문은 단 하나, BTC ATH 재도전 가능성이 실제로 열려 있는가입니다.
헤드라인은 요란하지만 숫자는 담담하죠. 그래서 BTC ATH 재도전 가능성을 판단할 때는 ETF/현물 유입, 온체인 축적, 기술적 돌파의 ‘삼박자’를 같은 순서로 점검해야 합니다.
나 역시 과거엔 감정에 끌려 들어갔고, 결과는 늘 비슷했습니다.
루틴을 바꾸고 나서 BTC ATH 재도전 가능성을 데이터 흐름으로만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은 그 루틴을 담았습니다.
오늘 무엇을 확인하고, 어디서 들어가고, 어디서 줄일지까지요.
1) 수급 동력: 돈이 들어오는가, 머무는가
-
ETF·현물 순유입의 지속성
-
일·주간 순유입이 유지되면 매수 호가가 두터워지고, 조정의 깊이가 얕아집니다.
-
-
거래소 보유량 변화
-
거래소 잔고가 줄면 매도 대기 물량이 감소합니다(현물 타이트닝).
-
-
스테이블코인 대기자금
-
거래소 유입이 늘면 ‘발사 버튼’ 준비 신호로 해석됩니다.
-
-
OTC 매집/대형 장외 체결
-
급락 구간에 대형 장외 체결이 누적되면 반등 탄성력이 커집니다.
-
2) 온체인 시그널: ‘진짜 수요’가 쌓이는가
-
SOPR(지출 이익률)
-
1선 상방 회복·유지가 이어지면 상승 구조가 재개될 확률이 높습니다.
-
-
MVRV·NUPL
-
완만한 상승은 건강한 강세장 패턴, 과열 급등은 단기 조정을 부릅니다.
-
-
장기 보유자(LTH) vs 단기 보유자(STH)
-
LTH 공급 비중↑·거래소 유입↓ 조합은 하방 경직성을 강화합니다.
-
-
고래·기관 지갑 동향
-
대규모 출금과 분할 매집이 반복되면 중기 바닥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3) 기술적 구조: 차트가 허용하는가
-
전고점대(ATH 근처)에서의 ‘지지 전환’
-
돌파는 종가로 확정, 그다음 리테스트에서 거래량이 줄며 지지가 확인되어야 합니다.
-
-
장기 추세 정렬
-
200일선 위 안착 + 50/200 이평 긍정 정렬(또는 골든크로스 유지)이 이상적입니다.
-
-
모멘텀·밴드
-
RSI 50~70 밴드 체류, 볼린저밴드 확장+거래량 동반은 추세 가속 신호입니다.
-
-
가격 행동(프라이스 액션)
-
고점 갱신 후 상단 채널 안에서 저점이 높아지는 구조(HL)면 재도전 동력이 이어집니다.
-
4) 파생·거시 변수: 바람의 세기와 방향
-
선물 미결제약정(OI)·펀딩비·베이시스
-
가격↑+OI↑+펀딩 과열은 단기 경고, 현물 주도 강세는 베이시스가 정상 범위로 유지됩니다.
-
-
금리·달러(DXY)·주식시장
-
완화적 금리 기대·약달러·리스크온 증시는 위험자산 유입 속도를 높입니다.
-
-
정책·규제 모멘텀
-
회계·커스터디 명확화, 제도권 제품 확대는 신규 수요의 ‘흐름’을 만듭니다.
-
5) 시나리오별 접근 (목록형)
-
강세 재도전(ATH 갱신 가능)
-
조건: 순유입 지속, 전고점 지지 전환 성공, SOPR 1상단 유지.
-
행동: 되돌림 분할 매수, 목표가는 127.2%→161.8% 확장 구간에서 분할 청산.
-
-
중립 박스(ATH 근처 공방)
-
조건: 유입·유출 혼조, 변동성 축소, OI 과열 완화.
-
행동: 박스 하단 매수·상단 청산, 돌파는 리테스트 대기 후 소량 추격.
-
-
단기 조정(재도전 연기)
-
조건: 달러 급반등, 펀딩 과열+OI 급증, 고래 입금 증가.
-
행동: 노출 축소·부분 헤지, 핵심 지지 회복 전까지 보수 운용.
-
6) 실전 포지셔닝: 코어·위성 투트랙
-
코어(60~80%)
-
현물·ETF 장기 보유, 목표 비중 밴드(예: 4~6%)로 자동 리밸런싱.
-
-
위성(20~40%)
-
이벤트 드리븐: 돌파/되돌림, CPI·정책 이벤트, 옵션(커버드콜·프로텍티브풋) 병행.
-
-
진입·청산 규칙
-
진입: 돌파 ‘확정(종가)’ 후 리테스트에서 분할.
-
손절: 전환 저점 하회 또는 ATR×1.2.
-
청산: 전고점 → 127.2% → 161.8% 순서 분할, 잔여는 트레일링.
-
7) 가짜 돌파 필터 & 리스크 관리
-
종가가 레벨 밖에 머무르지 못함
-
돌파/이탈 구간에서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음
-
하위 타임프레임에서 반대 신호(RSI 다이버전스·VWAP 재이탈) 발생
-
포지션당 손실 1% 이내, 상관 높은 포지션 동시 보유 최소화
-
이벤트 24시간 전후 레버리지 축소, 저널링으로 근거→결과 기록
8)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
-
ETF·현물 순유입의 연속성
-
거래소 보유량 감소와 스테이블코인 유입 증가
-
전고점대 지지 전환 여부(종가+리테스트+거래량)
-
SOPR 1선, MVRV·NUPL 과열/냉각 위치
-
OI·펀딩·베이시스 과열 신호 유무
-
달러·금리·주식시장 리스크온/오프 전환
결론
ATH는 숫자가 아니라 절차의 결과입니다. 수급→온체인→기술→파생/거시를 같은 순서로 점검하면 BTC ATH 재도전 가능성은 ‘감’이 아니라 ‘조건 충족’으로 보입니다. 규칙이 멘탈을 지키고, 멘탈이 수익을 지킵니다.
CTA & 연결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