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퇴직소득세 관련 국세청 링크 제공 – 계산·모의계산·가이드 한 방에

퇴직 직전엔 시간이 부족합니다. “계산기 어디더라?” 하고 찾다 보면 경로가 바뀌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아요.

아래 공식 링크만 저장해 두면, 언제든 정확한 화면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빠른 링크 모음(공식)

[웹] 홈택스 세금모의계산(퇴직소득)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

– 홈택스 내 ‘세금모의계산’ 진입 경로. 퇴직소득 모의계산 메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 퇴직소득 지급명세서 모의계산(최근 귀속연도)
https://mob.tbht.hometax.go.kr/jsonAction.do?actionId=UTBSFAAE66F001

– 휴대폰에서 바로 모의계산(2018.1.1. 이후 퇴직분 기준 안내 포함). (국세청 모바일)

[웹] 홈택스 퇴직소득 지급명세서 모의계산(웹 화면)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tm2lIdx=4402050000&tm3lIdx=4402050700&tmIdx=44&w2xPath=/ui/pp/index_pp.xml

– PC 웹에서 해당 모의계산 화면으로 바로 이동. (홈택스)

[설명] 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방법’ 공식 안내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cntntsId=7880&mi=6444

– 환산급여·공제 구조 등 최신 계산 로직 요약 페이지. (연도별 개정 반영 공지 확인 권장) (국세청)

[과거 귀속] 국세청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예: 2020년 귀속)
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Info.do?mi=2544&nttSn=85089

– 오래된 귀속연도(2017.12.31. 이전 등)는 별도 프로그램 안내를 참고. (국세청)

[포털] 홈택스 메인
https://www.hometax.go.kr/

– 메뉴 위치가 달라졌을 때 메인에서 ‘모의계산/퇴직소득’ 검색. (홈택스)

이렇게 사용하세요(실전 3단계)

1) “개요 파악” → 계산 구조 먼저 읽기

  • 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방법’에서 환산급여·공제 체계를 확인하세요. 세부 공식이 수시 개정될 수 있어 최신 버전 확인이 중요합니다.

2) “모의계산” → 홈택스/손택스에서 수치 넣어보기

  • PC면 홈택스 모의계산(웹), 모바일이면 손택스 모의계산으로 진입해 퇴직금·근속연수·중간정산 여부 등을 입력합니다(모의계산은 참고용).

3) “특수 케이스” → 과거 귀속연도/특정 상황 확인

  • 과거 귀속연도는 전용 프로그램 공지를 참고하세요. 화면의 예시(귀속시기·중간정산 처리 등)도 함께 제공됩니다. 

자주 겪는 오류 & 해결 팁

  • 화면이 안 뜰 때: 팝업/새 창 차단 해제 후 재시도(특히 회사 PC 보안설정).

  • 수치가 이상할 때: 중간정산분/가산월수 입력 누락이 흔한 원인. 손택스 도움말 사례를 참고해 항목을 다시 점검하세요. 

  • 연도 선택 혼동: “퇴직일 기준 귀속연도”로 접근하세요(지급일과 다를 수 있음). 과거 귀속은 별도 프로그램 공지를 확인. 

체크리스트(저장용)

  • 계산 구조: 국세청 공식 ‘계산방법’ 페이지 최근 버전 확인 (국세청)

  • 모의계산 실행: 홈택스(PC) 또는 손택스(모바일)에서 수치 입력 (홈택스, 국세청 모바일)

  • 귀속연도 점검: 과거 귀속은 전용 프로그램 공지 확인 (국세청)

  • 입력값 검토: 중간정산·근속월수·가산월수 누락 여부 재확인 (국세청 모바일)

마무리

필요한 건 두 가지뿐입니다. (1) 계산 구조 이해, (2) 공식 화면에서 바로 입력.

위 링크를 즐겨찾기 해두고, 제 케이스로 모의계산→수치 검증까지 한 번에 끝내세요.

문서 한 장 정리만으로 수백만 원의 판단 실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