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Ping/Latency 게임용 지연시간 비교(3사)|실측 방법·점수화·최적화 체크리스트

랭크 내려갈 때마다 의심이 올라오죠. 그래서 인터넷 Ping/Latency 게임용 지연시간 비교(3사)내 주소·내 장비 기준으로 직접 재보는 게 제일 공정합니다. 

이 글은 인터넷 Ping/Latency 게임용 지연시간 비교(3사)를 같은 방법으로 실측하고, 인터넷 Ping/Latency 게임용 지연시간 비교(3사) 결과를 점수화해 한눈에 고르는 법을 담았어요. 

복잡한 표는 빼고, 바로 복붙 가능한 템플릿만 남겼습니다.

준비물(간단)

  • 유선 연결 가능한 PC 1대(Cat6 이상 케이블)

  •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근 권한(QoS/게이밍 모드 확인용)

  • 측정 툴: ping, tracert/tracepath, 게임 런처 내 지연시간 표시, 스피드테스트(버퍼블로트 확인용)

측정 원칙(동일 조건 맞추기)

  • 유선 1GbE로 연결(와이파이는 보조 측정)

  • 백그라운드 다운로드/업데이트 모두 중지

  • 시간대 2구간 × 2일: 오전 1회·저녁 피크 1회 → 이틀 반복(총 4세트)

  • 서버 2~3곳: 국내(서울/수도권), 게임사 권장 서버, 필요 시 홍콩/도쿄 등 근접 리전

  • 기록 항목: 핑 평균(ms), 지터(ms), 패킷로스(%), 버퍼블로트 증가(ms)

기록 템플릿

  • 회선: [SKT/SKB | KT | LG U+] / 속도요금제: [100M/500M/1G…]

  • 연결: [유선/무선], 라우터 모델: [ ]

  • 서버: [국내/도쿄/홍콩 등] / 시간: [오전/저녁]

  • 결과

    • 핑 평균 [ ] ms, 지터 [ ] ms, 패킷로스 [ ] %

    • 버퍼블로트(업/다운) [ ] / [ ] ms

  • 메모: [다운로드 중? 가족 동시접속? 특이사항?]

점수화(게임 체감 100점 만점표)

  • 가중치(권장)

    • 핑 50점 / 지터 20점 / 패킷로스 20점 / 버퍼블로트 10점 = 100점

  • 점수 계산

    • 핑 점수 = max(0, 100 − (핑(ms) − 5)×1.2) → 5ms 기준, 1ms 증가당 1.2점 감점

    • 지터 점수 = max(0, 100 − 지터(ms)×5)

    • 로스 점수 = max(0, 100 − 로스(%)×40)

    • 버퍼블로트 점수 = max(0, 100 − (증가ms ÷ 2))

    • 최종점수 = 핑×0.5 + 지터×0.2 + 로스×0.2 + 버퍼×0.1

  • 판정 힌트

    • 90점↑: e스포츠 감각(총격/격투 안정)

    • 80점대: 대부분 장르 쾌적

    • 70점대: MOBA·레이싱은 민감, 최적화 필요

    • 60점↓: 회선/장비/환경 개선 권장

3사 비교, 이렇게 정리

  • 같은 주소·같은 장비로 SKT/SKB · KT · LG U+ 각각 위 템플릿을 채운다.

  • 오전/저녁 4세트의 중앙값으로 비교(이상치 배제).

  • 동점이면 지터·로스가 더 낮은 회선을 우선.

핑 낮추는 즉효 팁

  • 유선 우선: PC↔공유기 유선 직결, 가능하면 모뎀↔공유기도 품질 좋은 케이블(Cat6)

  • 공유기 설정

    • QoS/게이밍 모드 ON, 게임 포트/콘솔 우선순위 지정

    • WMM/Smart Queue(케이크·FQ-Codel) 활성화(버퍼블로트 억제)

    • 불필요한 트래픽/클라우드 백업/스트리밍 시간대 분리

  • 무선이면

    • 5GHz/6GHz 고정 + 80/160MHz 대역폭, DFS 채널 혼잡 피하기

    • 메시 사용 시 유선 백홀로 바꾸면 핑 흔들림이 급감

  • 라우팅 회피

    • 게임 런처에서 가까운 리전 선택(서울/도쿄 등)

    • VPN로 우회 핑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음(특수 케이스만 예외)

  • 장비

    • CPU 약한 구형 공유기는 NAT 처리 지연 큼 → 기가급 이상, 하드웨어 NAT/2.5GbE 지원 권장

문제 지속 시 체크

  • 주소 노드/백홀 혼잡: 저녁만 느리면 지역 이슈일 확률↑

  • 케이블 불량/스플리터/커넥터 접촉: 패킷로스·지터 급등

  • PC/드라이버/오버레이 앱: 게임 전용 프로필로 최소화

  • 게임 서버 이슈: 특정 리전/타이틀만 느리면 서버 측 문제일 수 있음

선택 가이드

  • FPS·격투·레이싱 위주 → 핑/지터 최우선, 평균 속도는 500M도 충분

  • 방송·업로드 잦음 → 업로드 안정과 버퍼블로트 낮은 회선

  • 가족 다접속 환경 → QoS 있는 공유기 + 1G 회선, 정기 업데이트 시간 분리

계산 메모(복붙)

  • 월 평균 실납부액 = {(월요금 + 임대 − 각종 월할인) × 약정개월 + 설치비} ÷ 약정개월

  • 1점당 비용 = 월 평균 실납부액 ÷ 최종점수 → 낮을수록 효율적

한줄 결론

핑은 느낌이 아니라 측정·기록·점수화입니다. 위 템플릿으로 3사를 같은 조건에서 재보면, 게임에 맞는 회선과 설정이 딱 드러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