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가 끊기면 병원비가 곧 현금흐름 리스크죠.
그래서 실손보험 프리랜서/자영업자 의료비 리스크 관리는 “월 고정비 최소화 + 건당 비용 예측 + 청구 속도 단축”이 전부입니다.
아래 순서로 바로 세팅하세요.
1) 월 고정비(보험료) vs 건당 비용(공제·자기부담) — 구조부터 고정
-
4세대 표준 뼈대
-
입원 본인부담: 급여 20%, 비급여 30%.
-
통원(외래+약국) 보험금 회당 최대 20만 원.
-
외래 최소 공제: 의원 1만 / 병원 1.5만 / 상급·종합 2만, 약국 8천, 비급여 외래 3만.
-
-
핵심 공식(통원)
-
내가 낼 돈 = 비율(20%/30%) vs 최소 공제 중 큰 금액 → 남은 금액이 보험금(회당 20만까지만).
-
-
결론: 소액·빈번 외래는 체감 환급이 낮습니다. 큰 건은 실손, 자잘한 건은 생활비로 받아들이면 계산이 선명해져요.
2) 표준형 vs 선택형(자기부담 강화형) — 손익분기로 끝내기
-
외래가 드문 생활(야근/원격·재택 위주): 선택형(월 보험료↓, 건당 부담↑).
-
소액·빈번 외래(카페·매장 운영, 장시간 서서 일): 표준형(건당 체감 유지).
-
손익분기 공식
-
연 절감보험료 ÷ (선택형–표준형 건당 추가부담) = 손익분기 외래 횟수
-
내 연간 외래 횟수가 이 값보다 적으면 선택형이 유리.
-
3) 프리랜서/자영업자 필수: 비급여 할인·할증을 재무 캘린더에
-
전년도 비급여 수령액 0원이면 할인/유지.
-
100만/150만/300만 원 이상이면 다음 해 보험료 +100/200/300% 할증 구간으로 갈 수 있음.
-
전략: 검진·치료 일정을 분산해 한 해에 비급여를 몰지 마세요(특히 MRI/주사/도수).
4) 청구 시간을 돈처럼: 실손24 루틴
-
2024.10부터 병원급(병상 30개+)에 전산청구 도입, 2025.10.25부터 의원·약국 확대 예정.
-
사용법: 실손24 앱/웹 → 병원·약국에서 전자 전송 → 앱으로 접수·확인. 현장 서류 걱정이 줄고 반려도 덜 합니다.
5) “내 사업/직군” 맞춤 운용 팁
-
촬영/디자인·개발 프리랜서(장시간 앉음)
-
허리·목 통증 등 소액 외래 잦음 → 표준형 선호, 물리치료는 최소 공제에 자주 걸리는 점 감안.
-
-
배달/운송·현장 시공(사고/부상 리스크)
-
입원 20%/30% 구조를 기준으로 큰 건 대비. 상급병실은 차액 비보장인 경우가 일반적이니 다인실 우선.
-
-
카페·리테일 자영업(소액·빈번 외래 + 감기/위장약)
-
약국 8천 공제를 기억하고 분할 처방 금지. 소액은 생활비, 큰 건은 실손.
-
-
프로젝트형(소득 변동 큼)
-
자주 안 아프면 선택형으로 고정비 절감 → 큰 검사·수술은 일정 분산.
-
6) 중간에 직장·단체 실손이 생기면? 중지제도로 낭비 막기
-
개인 실손과 단체 실손이 중복이면, 원하는 쪽을 중지했다가 나중에 재개할 수 있습니다(개인·단체 모두 중지 신청 가능, 재개 선택폭 확대). 프리랜서→재취업·파트타임 전환 시 유용합니다.
7) 유병력자 루트(플랜 B)도 머릿속에
-
과거 치료/투약으로 일반 인수가 어렵다면 유병력자 실손을 임시 안전망으로.
-
구조: 자기부담 30% + 최소부담(외래 2만/입원 10만), 통원 회당 20만(연 180회), 처방조제비 미보장이 일반적. 총비용(TCO)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
8) 바로 계산: 오늘 진료, 얼마나 받나? (가상 예시)
실제 지급은 약관·심사에 따릅니다.
-
의원 급여 25,000원 → 20%=5,000 vs 공제 10,000 → 내 부담 10,000 / 보험금 15,000
-
병원 급여 80,000원 → 20%=16,000 vs 공제 15,000 → 내 부담 16,000 / 보험금 64,000
-
상급 비급여 90,000원 → 30%=27,000 vs 공제 30,000 → 내 부담 30,000 / 보험금 60,000
-
약국 22,000원(처방) → 20%=4,400 vs 공제 8,000 → 내 부담 8,000 / 보험금 14,000
9) 체크리스트 — 실손보험 프리랜서/자영업자 의료비 리스크 관리
-
지난 1년(또는 예상) 외래/약국 횟수·평균금액 기록
-
표준형 vs 선택형 손익분기 외래 횟수 계산
-
비급여 0/100/150/300만 구간 점검(다음 해 할증 대비)
-
생활권 실손24 적용 병·의원·약국 즐겨찾기
-
상급병원은 큰 검사·수술만, 소액은 의원 우선
-
직장·단체 실손 생기면 중지제도로 중복 정리
-
갱신 2~3개월 전 리밸런싱(특약·채널·보험사 재비교)
FAQ
-
Q. 다이렉트가 항상 더 싸나요?
A. 동일 보장 대비 유리한 경우가 많지만, 병력 고지 복잡하면 대면 검토가 안전합니다. -
Q. 약국에서 왜 환급이 적죠?
A. 회당 8천 공제가 먼저 빠집니다. 분할 처방은 손해예요. -
Q. 할증이 무섭습니다.
A. 비급여는 연 100만/150만/300만 구간을 경계로 스케줄 분산을 권합니다. -
Q. 청구 서류 준비가 번거롭습니다.
A. 실손24 적용 기관이면 전자 전송으로 간소화됩니다. 2025.10.25부터 의원·약국도 확대 예정입니다.
마무리 — 한 줄 결론
실손보험 프리랜서/자영업자 의료비 리스크 관리는 “월 고정비 최소화 + 건당 비용 예측 + 실손24 청구 루틴 + 할증 관리”. 이 네 가지만 지키면, 일감이 들쭉날쭉해도 버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