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론 500M과 1G가 “더 빠른 게 무조건 정답”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매달 지갑에서 나가는 건 설치비가 포함된 월 평균 실납부액이고, 체감속도는 집 구조·공유기 규격·동시접속 수에 더 좌우되죠.
그래서 이 글은 인터넷 500M vs 1G 요금·속도 실납부액을 같은 잣대로 비교하고, “우리 집 환경에서 1G가 진짜 값어치를 하나?”를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기준은 3년 약정·인터넷 단독·평일 신규 설치 1회(결합·카드·프로모션 미적용)이며, 계산은 {(월요금×36)+설치비}÷36을 사용합니다.
글 중간중간 인터넷 500M vs 1G 요금·속도 실납부액을 다시 짚어 주니, 본인 조건만 대입하면 선택이 또렷해질 거예요.
공통 전제(요금·설치비·계산식)
-
약정/구성: 3년 약정, 인터넷 단독(공유기·셋톱 미포함)
-
기본 월요금(미결합, 단독 기준)
-
500M: 33,000원 / 1G: 38,500원(3년 약정).평일 설치비(신규 1회)
-
-
-
KT 36,000원 / SKB 36,300원 / LG U+ 36,300원(첫 달 합산 청구).
-
-
주말·공휴일·야간 설치는 설치비 약 25% 할증 가능.
-
실납부액(월 평균): {(월요금×36)+설치비}÷36
-
첫 달 납부액 = 월요금 + 설치비(설치비는 1회 청구)
-
500M 실납부액(설치비 포함, 평일 설치)
-
KT
-
월요금 33,000원 / 설치비 36,000원 → 첫 달 69,0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4,000원(=33,000 + 36,000/36)
-
-
SKT/SKB
-
월요금 33,000원 / 설치비 36,300원 → 첫 달 69,3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4,008원
-
-
LG U+
-
월요금 33,000원 / 설치비 36,300원 → 첫 달 69,3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4,008원
-
1G 실납부액(설치비 포함, 평일 설치)
-
KT
-
월요금 38,500원 / 설치비 36,000원 → 첫 달 74,5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9,500원(=38,500 + 36,000/36)
-
-
SKT/SKB
-
월요금 38,500원 / 설치비 36,300원 → 첫 달 74,8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9,508원
-
-
LG U+
-
월요금 38,500원 / 설치비 36,300원 → 첫 달 74,800원
-
월 평균 실납부액 약 39,508원
-
체감속도 체크리스트(500M vs 1G 선택 전에)
-
공유기 규격: 1G를 써도 공유기가 Wi-Fi 5(802.11ac) 2×2면 무선 체감이 500M 언저리에서 머무를 수 있어요. Wi-Fi 6/6E, 기가 유선 포트가 달린 장비인지 확인.
-
내 장치 스펙: 노트북/폰의 무선 칩셋이 2×2/80MHz까지만 지원하면 1G 체감이 제한됨.
-
동시접속 수: 가족 3~4명이 4K 스트리밍·클라우드 업로드·게임을 동시에 하면 1G 체감 이점이 커짐.
-
업로드 비중: 영상 업로드/대용량 협업이 잦다면 상위 등급이 안정적.
-
배선/망 품질: 주소지 가용 속도와 망 형태(FTTH/FTTB/HFC)를 사전 조회.
어떤 사용 패턴이 500M에 맞고, 언제 1G가 합리적일까
-
500M 권장
-
1~3인 가구, 고화질 스트리밍/웹서핑/화상회의가 주력
-
콘솔·PC 게임 다운로드는 가끔, NAS·클라우드 업로드 비중 낮음
-
공유기/단말 대부분 Wi-Fi 5 수준
-
-
1G 권장
-
3~5인 이상 동시 접속 빈번, 4K 스트리밍+다운로드+업로드를 동시에 진행
-
영상 편집본/대용량 원본 주고받기, 실시간 송출·백업 사용
-
기가 유선 구성 또는 Wi-Fi 6/6E 메쉬로 집 전체 커버
-
실전 계산 메모(복붙용)
-
기본식: {(월요금×36)+설치비}÷36
-
첫 달 납부액 = 월요금 + 설치비
-
예시(1G, SK/LG): 38,500×36 + 36,300 = 1,386,300 → 월 평균 ≈ 39,508원
결합/할인으로 실납부액 낮추는 팁(한 줄 요약)
-
휴대폰 결합, 온라인 단독 할인, 제휴카드 조합이 체감가를 크게 낮춥니다. 다만 할인 조건·지급액은 시점/채널마다 달라서 신청 단계에서 본인 조건으로 최종가를 확인하세요.
최종 한줄 결론
일상 사용이면 500M이 가성비, 동시 접속·업로드가 많거나 장비가 기가급이면 1G가 체감을 확실히 올립니다. 선택은 인터넷 500M vs 1G 요금·속도 실납부액을 본인 환경에 대입해 확정하세요.
English Title & Permalink
-
English Title: Internet 500M vs 1G — Price, Speed, and Real Monthly Payment with Installation Fees
-
Hyphen Permalink:
internet-500m-vs-1g-price-speed-and-real-monthly-payment-with-installation-f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