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는 다 비슷해 보여도, 실제로 매달 지갑에서 나가는 건 설치비가 반영된 월 평균 실납부액입니다.
이 글은 인터넷 기가라이트(500M) 3사 요금·혜택 비교표 기준으로 숫자를 같은 잣대에서 비교합니다.
전제는 3년 약정, 인터넷 단독, 평일 신규 설치 1회(결합/카드/프로모션 미적용).
계산은 {(월요금×36)+설치비}÷36을 사용하고, 중간엔 온라인 단독 할인·휴대폰 결합까지 더해 인터넷 기가라이트(500M) 3사 요금·혜택 비교표 관점에서 최저 비용을 찾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공통 전제 & 계산식
-
약정/구성: 3년 약정, 인터넷 단독(공유기·셋톱 미포함)
-
기본 월요금(미결합, 500M): 33,000원(3사 동일 기준)
-
평일 설치비(신규 1회): KT 36,000원 / SKB 36,300원 / LG U+ 36,300원(첫 달에 합산 청구)
-
주말·야간 설치: 설치비 약 25% 할증 가능(평일 설치가 유리)
-
월 평균 실납부액 공식: {(월요금×36)+설치비}÷36
-
첫 달 납부액: 월요금 + 설치비
기본 요금 & 첫 달 비용(설치비 포함, 평일 설치)
-
KT 500M
-
월요금 33,000원 → 첫 달 69,000원(=33,000+36,000)
-
월 평균 실납부액 ≈ 34,000원(=33,000+36,000/36)
-
-
SKT/SKB 500M
-
월요금 33,000원 → 첫 달 69,300원(=33,000+36,300)
-
월 평균 실납부액 ≈ 34,008원
-
-
LG U+ 500M
-
월요금 33,000원 → 첫 달 69,300원(=33,000+36,300)
-
월 평균 실납부액 ≈ 34,008원
-
혜택 비교표(요약 포인트)
-
KT — 핵심 포인트
-
공식몰 기준 500M 3년 약정 33,000원.
-
평일 출동비 36,000원, 주말 할증 별도.
-
결합/프로모션: 휴대폰·다회선·재약정 등 채널별 혜택이 상이 → 가입 직전 채널에서 최종가 확인 권장.
-
-
SKT/SKB — 핵심 포인트
-
기가라이트인터넷 33,000원(3년).
-
온라인 전용/더슬림·휴대폰 결합 등 추가 할인 시나리오 다수(패키지 상품 안내).
-
설치비 36,300원(평일), 주말/공휴일 할증 가능. LG U+ — 핵심 포인트
-
-
-
500M 기본 33,000원, 일부 온라인 단독 할인(-1,650원) 예시 제공.
-
설치비 36,300원, 첫 달 1회 합산 청구, 주말·야간 25% 할증 안내.
-
“실납부액” 빠르게 줄이는 3단 콤보
-
온라인 단독 할인: 신청 채널 한정 혜택이 자주 열림(정액·기간형).
-
휴대폰 결합: 1회선만 묶어도 체감가가 크게 낮아질 수 있음(SKT는 패키지·결합 예시 다수 안내).
-
제휴카드/실적형 할인: 의무 사용액 대비 실이익이 나는지 먼저 체크.
팁: 위 조건을 대입해 {(월요금×36)+설치비}÷36을 다시 계산하면, 본인 기준 최저가를 바로 확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 패턴으로 보는 500M 적합도 체크
-
3~4인 가구, 동시 스트리밍 + 화상회의 + 다운로드를 함께 돌린다 → 500M 체감 이점 큼.
-
공유기·단말이 Wi-Fi 6/기가 유선 포트 지원이면 500M 체감이 안정적.
-
주소지 가용 속도/망 형태(FTTH/FTTB/HFC) 사전 조회는 필수(속도 제한 회선이면 상위 요금제 체감 이익이 줄어듦).
한 줄 결론
인터넷 기가라이트(500M) 3사 요금·혜택 비교표로 보면 기본요금은 동일, 차이는 설치비·온라인 전용 할인·휴대폰 결합 조합에서 갈립니다. 본인 조건을 대입해 월 평균 실납부액을 다시 계산하세요.
계산 메모(복붙용)
-
기본식: {(월요금×36)+설치비}÷36
-
첫 달 = 월요금 + 설치비
-
예시(SK/LG): 33,000×36 + 36,300 = 1,224,300 → 월 평균 ≈ 34,008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