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OTT 결합(넷플릭스·디즈니+·티빙) 요금 차이|직접 구독 vs 통신사 번들, 뭐가 이득?

OTT를 그냥 앱으로 결제할지, 아니면 인터넷/모바일/IPTV에 묶어서 갈지—돈 차이가 꽤 납니다. 

이 글은 인터넷 OTT 결합(넷플릭스·디즈니+·티빙) 요금 차이를 기준으로,

  • 직접 구독(정가)

  • 통신사 구독 플랫폼/번들(소액 할인)

  • IPTV 채널+OTT 전용 요금제(채널요금+OTT를 한 묶음)
    같은 잣대(월 체감가)로 비교합니다. 맨 아래에 복붙용 계산 템플릿도 넣었어요.

기준값(정가) 먼저 확인

  • 넷플릭스

    • 광고형 스탠다드: 7,000원

    • 스탠다드: 13,500원

    • 프리미엄(UHD): 17,000원. 

  • 디즈니+

    • 스탠다드: 9,900원 / 프리미엄: 13,900원(연간 결제 옵션 별도). 

  • 티빙

    • 광고형 스탠다드 5,500원 / 베이직 9,500원 / 스탠다드 13,500원 / 프리미엄 17,000원. 

정가를 기준선으로 두고, 통신사 번들이 얼마나 깎아주는지 보겠습니다.

유형 A|통신사 ‘구독 플랫폼/요금제’로 OTT 결합(소액 할인형)

  • SKT – T 우주/요금제 연동

    • 넷플릭스: T 우주/전용 요금제에 따라 멤버십 결합·할인 제공(상품별 할인액 고지). 

    • 티빙: T 우주에서 광고형 4,500 / 스탠다드 12,500 / 프리미엄 16,000으로 정가 대비 1,000원 인하 예시. 

    • 디즈니+ 포함 요금제: 5GX 계열 일부 요금제에 디즈니+ 스탠다드/프리미엄 포함 또는 소액추가 구성 고지.

  • KT – 지니TV/KT 구독

    • 디즈니+ (KT 구독): 스탠다드 8,900, 프리미엄 12,900으로 정가 대비 1,000원 인하.

    • 넷플릭스: KT OTT 구독/지니TV로 청구 통합(일부 조건에서 광고형 500원 인하 안내 사례). 

  • LG U+ – 유독/프로모션형

    • 티빙: 유독에서 최대 10% 할인(광고형 5,500→4,950 등). 

요약: 이 유형은 보통 월 500~1,000원 정도의 소액 실질 할인(혹은 요금제 포함)입니다. 결제 통합·포인트 사용이 장점.

유형 B|IPTV 채널+OTT ‘전용 요금제’(번들형, 체감가가 확 달라질 수 있음)

  • SK브로드밴드 B tv × 넷플릭스

    • 예: B tv All 넷플릭스 스탠다드 월 28,000원 / B tv All 넷플릭스 프리미엄 월 30,200~31,000원(인터넷 결합·3년 약정 기준). 

  • KT 지니TV × OTT 초이스

    • 예: 넷플릭스 초이스(HD/UHD), 티빙 초이스(스탠다드/프리미엄), 디즈니+ 초이스(스탠다드/프리미엄) 등—채널 269개 + 해당 OTT 멤버십을 한 묶음으로 제공. (상품 구성·혜택 공식 안내)

  • LG U+tv × 넷플릭스 전용 요금제

    • 예: 프리미엄 넷플릭스 HD/UHD 등 전용 요금제(온라인/단독·결합가 별도 표기).

요약: IPTV 요금(채널) + OTT 멤버십을 묶어 단가를 내리거나(채널 업그레이드 포함) 결합가를 제시합니다. 채널을 원한다면 번들이 유리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빠른 비교 시나리오(예시값·구조 이해용)

실제 청구는 채널·약정·결합·지역·기기 모델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비교 방식만 참고하세요.

  • 시나리오 1 | 넷플릭스만 볼 사람(채널 불필요)

    • 직접 구독 스탠다드 13,500원 vs SKT T 우주/전용 요금제 할인 또는 KT 청구 통합/소액할인

    • 차이: 월 ~500~1,000원 절감 + 청구 통합 편의. 채널이 필요 없다면 직접 구독 or 소액 할인형이 단순.

  • 시나리오 2 | TV 채널+OTT를 같이 볼 사람

    • B tv × 넷플릭스 전용 요금제(채널+넷플릭스 한 묶음) vs 지니TV OTT 초이스 vs U+tv OTT 전용 요금제

    • 차이: 채널 업그레이드 + OTT 포함인데 합산가가 낮아지는 조합이 존재. 채널을 이미 보거나 늘릴 계획이면 번들형이 승산.

  • 시나리오 3 | 티빙 위주 + SKT 모바일 사용자

    • T 우주 티빙정가 대비 1,000원 저렴. 여기에 휴대폰 결합(가족/총액)을 얹으면 전체 체감가가 추가로 내려감. 

  • 시나리오 4 | 디즈니+ 위주 + KT 사용자

    • KT 구독 디즈니+스탠다드 8,900 / 프리미엄 12,900(정가 대비 −1,000원). IPTV까지 본다면 지니TV 디즈니+ 초이스 검토. 

돈으로 끝내는 계산 템플릿

  • 직접 구독: 월 체감 = OTT 정가 (혹은 프로모션가)

  • 통신사 구독/번들: 월 체감 = (OTT 번들이용료) 또는 (정가 − 통신사 할인)

  • IPTV 전용 요금제: 월 체감 = (IPTV 채널요금 + 셋톱 임대료 + OTT 포함가)

  • 총체감 비교(약정 N개월)

    • ={(월 체감 × N) + (설치/출동비)} ÷ N

    • 채널을 새로 까는 경우 출동비(인터넷/TV)를 함께 나눠 반영.

선택 체크리스트

  • 채널이 꼭 필요한가? 없으면 직접/소액할인형, 있으면 번들형이 보통 유리.

  • 같이 사는 가족 수/동시접속 수: 스탠다드(동시 2) vs 프리미엄(동시 4).

  • 청구 통합/포인트 사용이 필요한가? 카드/포인트 소진까지 고려.

  • 설치·셋톱 비용: IPTV 번들은 출동비/셋톱 임대료가 생김—평균가에 나눠 반영.

  • 결합/요금제 조건: 통신사 할인은 특정 요금제/약정에 묶일 수 있음.

한줄 결론

인터넷 OTT 결합(넷플릭스·디즈니+·티빙) 요금 차이채널을 함께 보느냐가 분기점입니다. 채널이 필요 없으면 직접/소액할인형, 채널까지 본다면 IPTV 전용 번들이 평균 체감가를 낮추는 경우가 많아요. 위 템플릿에 내 조건을 넣어 바로 계산해 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