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인터넷 결합할인 + 회선 추가 시 최저가 시나리오 | 구간 점프·순비용 계산·타이밍

답은 배치와 타이밍이다. 휴대폰+인터넷 결합할인 + 회선 추가 시 최저가 시나리오는 ‘무제한 1 앵커로 구간을 찍고, 나머지는 슬림으로 다이어트’가 기본 골격이다. 

여기에 합산 청구와 자동이체를 얹어 카드 상한을 꾸준히 채우면, 회선이 늘어도 실납부액이 올라가지 않는다.

지금부터 휴대폰+인터넷 결합할인 + 회선 추가 시 최저가 시나리오를 구조→계산→시나리오→타이밍 순서로 쭉 깔아본다.

큰 그림 — 구간은 “앵커”로 올리고, 총액은 “슬림”으로 내린다

  • 총액형 결합

    • 가족 휴대폰 월정액 합이 문턱을 넘을 때 상위 구간 진입 → 모바일 감면↑.

    • 무제한 1회선을 앵커로 두면 첫/두 번째 구간을 안정적으로 찍는다.

  • 고정 감면(인터넷)

    • 100M/500M/1G + 약정 길이에 따라 정액 감면. 보통 500M이 체감/임대료/감면 균형이 좋다.

  • 동시 결합 보너스

    • IPTV를 붙이면 소액 감면이 더해지지만, 셋톱·채널팩이 이득을 상쇄할 수 있다(기본형 1셋톱 권장).

실납부액 공식 — 표면가 말고 ‘진짜 값’으로만 비교

  • 월 실납부액

    • = 인터넷 기본요금

      • 장비 임대료(공유기/셋톱/추가 셋톱)

      • 가족 휴대폰 기본요금 합

    • − 결합 할인(총액형/연수형/TV 동시)

    • − 약정/프로모션 감면

      • 설치·이전비 기간 환산

    • − 제휴카드 청구할인/캐시백(합산 청구·실적 달성 시)

두 안의 차이가 월 7천~1만원 이상이면 싼 쪽 확정, 5천 원 이하면 관리 편의·품질로 결정.

회선 추가별 최저가 시나리오 — 1→2→3→4+ 단계 설계

1→2회선: 신혼·룸메 조합

  • 핵심 배치

    • 무제한 1(앵커) + 슬림 1, 인터넷 500M, IPTV 필요 시 기본형 1셋톱.

  • 왜 유리한가

    • 첫 구간 점프가 가장 쉽다. 슬림 2보다 감면/총액 비율이 좋다.

  • 체크

    • 합산 청구 등록, 자동이체 1장으로 카드 상한 도달.

2→3회선: 자녀 1 합류

  • 핵심 배치

    • 무제한 1 + 슬림 2. 자녀는 슬림 시작 + 필요 달만 데이터 공유/일시 확장.

  • 왜 유리한가

    • 두 번째 구간 근접, 모바일 감면 체감↑. IPTV는 기본형만.

  • 체크

    • 보조 회선(워치/패드) 합산 제외 주의 — 본회선만 카운트.

3→4회선 이상: 자녀 2·부모 합가

  • 핵심 배치

    • 무제한 1~2 + 슬림 2~3, 인터넷 500M(1G는 업로드/동시접속 많을 때만).

  • 왜 유리한가

    • 상위 구간 유지력이 생긴다. 무제한을 2개까지 늘릴지 여부는 총액으로 계산.

  • 체크

    • 추가 셋톱·고급 채널팩은 순비용 역전의 주범 → 기본형 1셋톱부터.

회선 “추가” 타이밍 — 재산정이 돈이 되려면

  • 신규 합류(개통/번호이동): 청구 기준일 이전에 완료 → 다음 고지서부터 구간 반영 가능성↑.

  • 요금제 상향(슬림→무제한): 월초 적용이 안전(그 달 사용분 최대 반영).

  • 요금제 하향: 청구 집계 이후가 안전(감면 손실 방지).

  • 합산 청구 전환: 결합 신청과 같은 날 접수, 적용월 문자/녹취 확보.

비용을 가르는 디테일 — 여기서 승부난다

  • 공유기 임대료: 기가급 임대료가 커지면 총액 상승 → 자가 장비 총소유비용과 비교.

  • IPTV 옵션 과다: 프리미엄 셋톱/고급 채널팩/추가 셋톱은 결합 이득을 상쇄 → 기본형 1셋톱.

  • 월말/월중 반영 착각: 신청했어도 다음 청구월부터 반영되는 경우가 흔함 → 반드시 적용월 문자 확보.

  • 카드 상한 미달: 상한만 보고 가입하면 할인 0원 → 낮은 실적 구간 카드로 현실화.

  • 보조 회선 착시: 워치/패드/데이터쉐어는 합산 제외 가능 → 본회선만 합산.

3분 계산 템플릿(복붙용)

  • 현재 회선/요금제: __

  • 추가 회선 수/요금제(예정): __

  • 인터넷 속도·약정: __ / __년, IPTV: 없음/기본형 1셋톱

  • 합산 청구/자동이체 카드: 예/아니오

  • 월 실납부액 = (인터넷+장비+휴대폰 합) − (결합+약정/프로모) + (설치/이전/환산) − (카드 청구할인)

  • 시나리오 A(무제한 1+슬림 n): __

  • 시나리오 B(무제한 2+슬림 n-1): __

  • 차이: __원 → 7천~1만원↑ 싼 쪽 확정 / 5천↓면 편의·품질로 결정

자주 묻는 Q&A

  • Q. 무제한을 무조건 2개 두면 더 싸죠?

    • A. 상위 구간은 안정적이지만 기본료가 커져 순비용 역전이 잦다. 보통 무제한 1 앵커면 충분.

  • Q. 1G로 올리면 감면이 늘어 더 유리?

    • A. 감면↑보다 임대료·기본요금↑가 더 큰 경우가 많다. 업로드·동시접속 많을 때만.

  • Q. OTT를 많이 보면 IPTV가 꼭 필요?

    • A. 아니오. 실시간 채널 수요 없으면 인터넷 단독 + OTT가 총액을 낮춘다.

  • Q. 알뜰폰이 섞이면 결합이 무의미?

    • A. 일부만 인정되는 구조가 있다. 가능해도 감면 축소가 흔하니 실납부액으로 판단.

체크리스트 — 신청/변경 전 30초 점검

  • 무제한 1 앵커 확보로 구간을 찍었는가

  • 나머지 회선 슬림/중간으로 순비용을 낮췄는가

  • 인터넷 500M + 약정 감면으로 고정 감면 최적화했는가

  • IPTV는 기본형 1셋톱부터 시작하는가

  • 합산 청구 + 자동이체 1장으로 카드 상한 도달 가능한가

  • 적용 시작 청구월 문자/녹취 확보했는가

결론 — “앵커로 점프, 슬림으로 잠그기”

휴대폰+인터넷 결합할인 + 회선 추가 시 최저가 시나리오의 해답은 한 줄이다.

  • 무제한 1로 구간을 점프하고, 나머지는 슬림으로 잠근 뒤,

  • 같은 공식으로 실납부액을 비교하면 우리 집 최저점이 드러난다.
    차이가 크면 바로 선택, 애매하면 품질·편의로 마무리하자.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