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 | 월 실납부액으로 고르는 최적 플랜

자영업·프리랜서는 스케줄이 요동칩니다. 촬영주·행사주엔 병원 갈 틈이 없고, 한 번 아프면 연속 방문이 나옵니다. 그래서 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은 월보험료보다 월 실납부액이 기준입니다.

  • 월 실납부액 = 월보험료(P) + 월 예상 본인부담(캡 적용)

  • 본인부담은 최소공제(D) + (총진료비(C)−D)×자기부담률(r) × 월 방문수(n)

숫자 네 개(P, C, D, r)와 방문수(n)만 알면 바로 결론이 납니다.

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 — 핵심 원칙

  • 소액·빈번 진료가 있으면 D 작은 구조가 유리

  • 방문 드물면 D·r을 약간 올려 P 낮추기

  • 급여 위주(감기·처방)면 급여 우대형 고려

  • 비급여(도수·주사·영상) 반복이면 특약 최소 스펙 포함으로 월 변동성 완화

  • 할인(카드/자동이체/무해지형)은 별도 항목으로 기록

소·중·고 빈도별 추천 조합(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

1) 소빈도(월 0~1회)

  • 조합: 절약형(P↓, D·r 소폭↑) + 특약 미포함 또는 최소

  • 포인트: 검사 몰림 달 최대 시나리오도 같이 계산

  • 맞는 직군: 촬영/행사 위주, 장거리 출장 많음, 건강관리 루틴 있는 분

2) 중빈도(월 2~3회, 급여 중심)

  • 조합: 급여 우대형 + 약국 D 작은 구조

  • 포인트: 외래·약국 각각의 D와 r을 분리 계산

  • 맞는 직군: 카페·요식 운영자, 디자이너·퍼블리셔, 교육·컨설턴트

3) 고빈도(월 4회 이상 or 비급여 반복)

  • 조합: 표준 기본 + 비급여 3종 특약 최소 스펙(회차/상한 유리)

  • 포인트: 도수·주사·영상의 회차·상한 캡 확인

  • 맞는 직군: 크리에이터, 체력·자세 이슈 누적되는 작업자

계산 템플릿(복붙해서 쓰기)

  • 입력: P, n, C, D, r (외래·약국 분리 가능: D_o/D_rx, r_o/r_rx)

  • 외래 건당 = D_o + (C_o − D_o) × r_o

  • 약국 건당 = D_rx + (C_rx − D_rx) × r_rx

  • 월 예상 본인부담 = (외래 건당×n_o) + (약국 건당×n_rx)

  • 월 실납부액 = P + 월 예상 본인부담 (특약·상·하한 H 반영)

  • 두 안 이상을 같은 입력값으로 계산해 더 낮은 쪽 선택

가상 사례로 보는 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

이해용 숫자입니다. 본인 영수증 값으로 대입하세요.

케이스 A|소빈도(월 0.5회)

  • 가정: P(절약)=12,000, D=10,000, r=30%, C=30,000

  • 외래 건당 = 10,000 + (20,000×0.3)=16,000 → 월 8,000

  • 월 실납부액 = 20,000원
    → 드문 방문엔 절약형이 합리적.

케이스 B|중빈도(월 2회, 급여 70%)

  • 가정: P(급여우대)=15,000, D=5,000, r급여=10%, r비급여=20%, C=25,000

  • 평균 건당 ≈ 0.7×[5,000+(20,000×0.1)] + 0.3×[5,000+(20,000×0.2)] = 7,600

  • 월 실납부액 = 15,000 + (7,600×2) = 30,200원
    → 급여 우대형이 근소 우위.

케이스 C|고빈도(비급여 도수 주 1회)

  • 가정: 특약 포함 시 P +4,000, 비급여 r 30%, 건당 50,000원 × 월 4회

  • 특약 있음: 50,000×0.3×4 = 60,000월 실납부액 = P+4,000 + 60,000 + 기타

  • 특약 없음: 비급여 자부담 증가로 월 10만+ 가능
    → 반복 비급여에는 특약 최소 스펙 포함이 보통 이득.

직군별 미세 조정 팁

  • 요식·리테일 운영자: 손목·허리 이슈 누적 → 비급여 특약 최소 회차로 안전망

  • 크리에이터·디자이너: 장시간 좌식 + 처방 꾸준 → 급여 우대형 + 약국 D 작게

  • 설치·배송 프리랜서: 외상 가능성↑ → 상해 관련 특약 면책·제한 여부 확인

  • 코치·트레이너: 재활·도수 반복 소지 → 회차 캡 유리한 특약 구조 선호

놓치면 새는 돈 포인트(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

  • 외래/약국 D를 같은 값으로 본다 → 누락 계산

  • 상·하한/회차 H 미확인 → 기대치와 실제 보장 차이

  • 할인만 믿고 구조 생략 → 조건 끝나면 역전

  • 비급여 변수 무시 → 한 달 폭탄, 연평균 실납부액 급등

체크리스트(복붙)

  • 최근 3개월 외래 n_o, 약국 n_rx, 평균 C_o/C_rx 기록

  • 약관 D_o/D_rx, r_o/r_rx, 특약 회차/상·하한 H 확인

  • 후보안 P 정리(할인 별도)

  • 각 안의 월 실납부액 계산(평균·최대 시나리오)

  • 소·중·고 빈도 어디에 해당하는지 표시

  • 결과 반영해 특약 포함/미포함·D·r 조정

자주 묻는 질문

  • 비급여를 거의 안 쓰는데도 특약이 필요할까요?

    • 월 0~1회 수준이면 미포함 또는 최소 스펙이 합리적입니다.

  • 약국 비용이 작아 무시해도 되나요?

    • 처방이 이어지면 누적이 큽니다. 약국 D 작은 구조가 유리할 수 있어요.

  • 분기마다 패턴이 달라요.

    • 분기별로 월 실납부액을 다시 계산해 조정하세요.

결론

자영업·프리랜서 통원 빈도형 조합의 정답은 패턴입니다.

  • 소빈도 → 절약형

  • 중빈도·급여 중심 → 급여 우대형

  • 고빈도·비급여 반복 → 특약 최소 스펙 포함
    항상 월 실납부액이 가장 낮은 조합이 이깁니다. 오늘 영수증 수치만 넣어도 방향이 또렷해집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