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퇴직소득세율 기본표 정리 – 환산급여 기준 누진세율 완벽 정리

“퇴직금은 받았는데, 세금이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어요…”

퇴직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세금 규모에 놀라곤 합니다.

그 이유는 퇴직소득세가 일반 소득세와는 전혀 다른 계산 방식을 따르기 때문이죠.

그 핵심은 바로 환산급여를 기준으로 적용되는 누진세율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소득세 계산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퇴직소득세율 기본표’를 2025년 최신 개정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퇴직소득세, 어떻게 계산되나요?

퇴직소득세는 단순히 퇴직금에 세율을 곱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계산됩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순서

  1. 퇴직소득 = 퇴직금 – 정률공제 – 근속연수공제

  2. 환산급여 = (퇴직소득 ÷ 근속연수) × 12

  3. 환산급여에 세율 적용 → 1년치 세금 = 환산산출세액

  4. 환산산출세액 × 근속연수 = 총 퇴직소득세

  5. 지방소득세(10%) 별도 부과

2025년 퇴직소득세율 기본표

퇴직소득세는 환산급여 구간별 누진세율이 적용되며, 각 구간에 따라 누진공제액도 함께 제공됩니다.

다음은 2025년 기준 퇴직소득세율 표입니다:

  • 환산급여 0 ~ 8백만 원

    • 세율: 6%

    • 누진공제: 0원

  • 8백만 ~ 7천만 원

    • 세율: 15%

    • 누진공제: 720,000원

  • 7천만 ~ 1억 5천만 원

    • 세율: 24%

    • 누진공제: 5,220,000원

  • 1억 5천만 ~ 3억 원

    • 세율: 35%

    • 누진공제: 14,900,000원

  • 3억 원 초과

    • 세율: 38%

    • 누진공제: 22,900,000원

예시로 보는 퇴직소득세율 적용

[예시] 퇴직소득금액: 6,000만 원 / 근속연수: 10년

  • 환산급여 = (6,000만 ÷ 10) × 12 = 7,200만 원

  • 해당 구간: 7천만 ~ 1억 5천만 원 → 24%

  • 계산:

    • 7,200만 × 0.24 = 17,280,000

    • 17,280,000 – 5,220,000(누진공제) = 12,060,000

    • 연간 세액: 1,206만 원

    • 총 퇴직소득세: 1,206만 × 10년 = 1억 2,060,000원

    • 지방소득세: 1,206만 × 10% = 1,206,000원

    • 총 세금: 1억 3,266,000원

퇴직소득세 절세 전략은?

  • 근속연수를 늘리면 환산급여가 낮아져 세율도 낮아집니다.

  • 퇴직금 일부를 IRP로 이체하면 분리과세 적용 (3.3~5.5%)

  • 공제 항목(정률공제, 근속연수공제)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마무리 & CTA

퇴직소득세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환산급여와 세율 구간 구조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 오늘 정리한 퇴직소득세율 기본표를 바탕으로 지금 나의 퇴직소득세를 직접 시뮬레이션해보세요.

단 1%의 세율 차이로 수백만 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