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통원/약제비 한도·자기부담률 비교표가 필요한 이유는 간단합니다.
같은 병원비라도 어디의 한도에 걸리고, 얼마의 자기부담률이 붙는지에 따라 내 지갑에서 나가는 총액(실납부액)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죠.
이 글은 입원/통원/약제비 한도·자기부담률 비교표를 표 대신 목록형으로 정리하고, 공식과 케이스를 넣어 바로 대입할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읽는 내내 “내 패턴이라면?”을 떠올리며 숫자를 넣어 보세요.
핵심 개념 한 번에 정리
-
입원
-
구조: 일괄 자기부담률 r_inp ± 상·하한(1회/1일/연간)
-
포인트: 고액 진료라도 상한(H_inp)에서 컷될 수 있음
-
-
통원(외래)
-
구조: 최소공제 D_out + (C_out−D_out)×r_out
-
포인트: 소액·빈번이면 D_out 크기가 체감에 결정적
-
-
약제비(처방/조제)
-
구조: D_rx + (C_rx−D_rx)×r_rx (외래와 별도인 경우 많음)
-
포인트: 처방이 꾸준하면 D_rx 작은 설계가 유리
-
용어: C=총진료비/조제비, D=최소공제, r=자기부담률, H=상·하한
입원/통원/약제비 한도·자기부담률 비교표
내 약관 수치를 그대로 채워 넣으세요.
-
입원
-
자기부담률 r_inp: ___%
-
상·하한(H_inp): 1회 ___ / 1일 ___ / 연간 ___
-
비고: 수술·집중치료 분리 여부 ___
-
-
통원(외래)
-
최소공제 D_out: ___원(의원/병원/상급 구분 시 각각 기입)
-
자기부담률 r_out: 급여 ___% / 비급여 ___%
-
일/회/연간 한도(H_out): ___
-
-
약제비(처방/조제)
-
최소공제 D_rx: ___원
-
자기부담률 r_rx: ___%
-
건당/연간 한도(H_rx): ___
-
계산 공식(복붙해서 사용)
-
통원 건당 본인부담 =
D_out + (C_out − D_out) × r_out
(D_out=0이면C_out×r_out
) -
약제비 건당 본인부담 =
D_rx + (C_rx − D_rx) × r_rx
-
입원 본인부담(1회) =
C_inp × r_inp
→ H_inp로 캡 -
월 예상 본인부담 =
(통원 건당×n_out) + (약제비 건당×n_rx) + (입원 본인부담/월 환산)
-
월 실납부액 =
월보험료 P + 월 예상 본인부담
가상 케이스로 보는 차이(이해용 숫자)
본인 값으로 대입하세요.
케이스 A|통원 자주(월 3회), 약제비 2건
-
가정:
D_out=5,000
,r_out=20%
,C_out=25,000
,n_out=3
-
통원 건당 = 5,000+(20,000×0.2)=9,000 → 월 27,000
-
약제:
D_rx=0
,r_rx=20%
,C_rx=8,000
,n_rx=2
→ 월 3,200 -
합계(보험료 제외) = 30,200원
→ D_out·D_rx가 작을수록 유리.
케이스 B|입원 1회(고액), 상한 적용
-
가정:
r_inp=20%
,C_inp=1,000,000
,H_inp(1회)=200,000
-
원칙상 200,000 → 상한과 동일, 상한에 걸려 체감 제한
→ 고액 진료는 상한 구조가 승부처.
케이스 C|비급여 외래 혼합(월 2회)
-
가정: 급여 r_out=10%, 비급여 r_out=20%, 각 1회씩
-
급여 건당: 5,000+(20,000×0.1)=7,000
-
비급여 건당: 5,000+(20,000×0.2)=9,000
-
월 16,000원
→ 비급여 비중이 늘수록 월 실납부액 상승.
패턴별 추천 흐름
-
소액·빈번(통원·약제 중심) → D_out·D_rx 작은 구조 + 중간 r
-
드물지만 고액(입원·검사) → 입원 상한(H_inp) 유리한 설계 우선
-
급여 위주 → 급여 r 낮은 구조(우대형) 검토
-
비급여 반복 → 특약 최소 스펙으로 회차·상한 유리한 쪽 선택
놓치면 새는 포인트
-
통원과 약제 공제를 동일시(별도인 경우 많음)
-
의원/병원/상급 D_out 차등 미확인
-
입원 상·하한(H_inp) 미확인으로 기대치 과대
-
할인 조건만 보고 구조는 생략 → 조건 종료 시 역전
-
비급여 혼합 계산 누락 → 실제 체감과 괴리
체크리스트(복붙)
-
내 약관의 D_out/D_rx, r_out/r_rx, r_inp 확인
-
H_inp/H_out/H_rx(1회·1일·연간) 기록
-
최근 3~6개월 n_out, n_rx, 평균 C_out/C_rx 집계
-
두 개 이상 후보안의 월 실납부액 계산
-
급여/비급여 비중을 반영해 다시 비교
-
필요 시 특약(비급여 3종) 최소 스펙만 추가
자주 묻는 질문(FAQ)
-
약제비는 외래와 한도가 같나요?
-
별도인 경우가 흔합니다. D_rx·r_rx·한도를 따로 확인하세요.
-
-
입원 상한이 있으면 무조건 유리한가요?
-
고액 진료에선 유리하지만, 잦은 소액 통원엔 D_out이 더 중요합니다.
-
-
급여/비급여 구분이 헷갈려요.
-
영수증에서 항목별 금액을 분리해 각 r을 적용하면 정확합니다.
-
결론
입원/통원/약제비 한도·자기부담률 비교표의 핵심은 공제(D)·비율(r)·상한(H) 세 가지입니다. 여기에 내 방문 빈도(n)와 단가(C)만 얹으면 월 실납부액으로 공정 비교가 끝납니다. 숫자는 솔직해요. 지금 약관 값으로 바로 대입해, 가장 적게 나가는 조합을 고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