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도수·체외충격파·주사 비급여 보장/제한 정리 | 계산법·회차·한도·선택 가이드

병원비가 같은데도 지급액은 왜 다를까요? 답은 도수·체외충격파·주사 비급여 보장/제한 정리에 있습니다. 

이 세 항목은 대개 별도 특약으로 묶여 회차·상한·자기부담률이 따로 움직입니다. 

오늘은 도수·체외충격파·주사 비급여 보장/제한 정리를 핵심만 추려 설명하고, 바로 대입 가능한 계산법·케이스·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비급여 3종, 공통 구조 먼저

  • 특약 분리: 주계약(입원·외래·약국)과 별개로 회차·상한·자기부담률이 구성.

  • 회차 관리: 월/연 횟수 제한이 있고, 초과 시 전액 본인부담 가능.

  • 상·하한: 1회 최대 지급(상한) 또는 최소 인정액(하한) 존재.

  • 자기부담률: 보통 일반 외래보다 높음(예: 30% 등).

  • 면책·인정기준: 의사 처방, 진료기록, 적응증 등 요건 충족 필요.

항목별 보장/제한 정리

1) 도수치료

  • 보장 요건

    • 의사 처방 및 치료 목적 명시, 동일 부위 반복 시 경과 기록 요구 잦음.

  • 제한 포인트

    • 월/연 회차 제한(예: 연 초과 시 미지급), 자기부담률 상향.

    • 특정 횟수 이후 지급률 축소 가능.

  • 체감 팁

    • 단가가 높아 회차 캡이 체감에 결정적.

    • 주 1회 이상이면 특약 최소 스펙이라도 유리한 경우 많음.

2) 체외충격파(ESWT)

  • 보장 요건

    • 급·만성 통증, 석회성 질환 등 진단·부위 명시 필요.

  • 제한 포인트

    • 적응증 외 사용은 비보장, 부위·세션 제한 가능.

    • 자기부담률 상향 + 회차 상한 동시 적용 빈번.

  • 체감 팁

    • 단발성보단 연속 세션이 많아 월 캡에 자주 닿음.

3) 주사(비급여 주사 포함)

  • 보장 요건

    • 치료 목적 주사 위주. 미용·영양제 성격은 비보장 가능.

  • 제한 포인트

    • 종류 제한(성분·용량), 주기 제한, 처방전/기록 필수.

    • 자기부담률이 높고 건당 상한이 따로 있을 수 있음.

  • 체감 팁

    • 단가는 중간, 빈도 누적이 총액을 키움.

    • 계절성 사용이라면 특약 미포함도 선택지.

빠른 계산법(직접 대입)

  • 기본식(건당 본인부담)

    • 본인부담 = 최소공제 D + (청구액 C − D) × 자기부담률 r (D가 없으면 C × r)

  • 월 예상 본인부담

    • 본인부담 × 월 이용 횟수 n회차/상한 H로 캡 적용

  • 월 실납부액(체감 총지출)

    • 월보험료 P + 월 예상 본인부담(캡 적용)

  • 의사결정 규칙

    • 특약 포함 vs 미포함 두 안을 같은 입력값으로 계산해 더 낮은 월 실납부액 선택.

가상 사례(이해용 숫자)

본인 수치로 꼭 대입하세요.

  • 도수 월 2회, 건당 50,000원, r=30%, 회차 캡 충분

    • 본인부담 = 50,000×0.3=15,000 → 월 30,000

    • 특약료 +4,000 가정 → 월 실납부액(포함) = P+34,000

    • 미포함 가정: 일반 비급여 구조로 본인부담 증가 월 50,000+포함이 유리 가능성 큼.

  • 체외충격파 월 1회, 건당 70,000원, r=30%, 월 1회 상한 18,000

    • 계산상 21,000이지만 상한 18,000으로 캡 → 월 18,000

    • 상한 유무가 체감 차이를 만듦.

  • 주사 월 1회, 건당 40,000원, r=30%, 특약 없음

    • 본인부담 = 12,000 → 월 12,000

    • 특약료가 월 4,000이라면 연 12회 미만이면 미포함이 합리적일 수 있음.

패턴별 추천 흐름

  • 반복 치료(주 1회 이상)

    • 도수/체외충격파 특약 포함 + 회차·상한 유리한 조합 선호.

  • 간헐 치료(월 0~1회)

    • 주사만 가끔: 특약 미포함 또는 최소 스펙으로 유지.

  • 혼합 패턴(간헐 도수 + 가끔 주사)

    • 특약은 도수 중심으로 최소 스펙, 주사는 일반 구조로 감수.

  • 불확실 패턴

    • 미포함 최소구성으로 시작 → 1~2개월 데이터 쌓여도 월 실납부액이 높으면 그때 포함.

실무 체크리스트(복붙)

  • 최근 3개월 이용 횟수(n), 건당 비용(C) 기록

  • 내 약관의 r(자기부담률), D(최소공제), H(회차/상·하한) 확인

  • 의사 처방/소견 필수 여부 확인(미보장 방지)

  • 포함/미포함 두 안의 월 실납부액 계산

  • 결과와 다음 달 계획(재활·훈련·시술) 반영해 조정

자주 묻는 질문(FAQ)

  • 운동 재활로 도수를 몇 달 받을 예정입니다. 무조건 특약?

    • 주 1회 이상이면 특약 최소 스펙이 보통 유리합니다. 회차·상한을 꼭 확인하세요.

  • 영양주사도 보장되나요?

    • 미용·영양 목적은 비보장일 수 있습니다. 치료 목적·처방이 핵심입니다.

  • 체외충격파를 다른 부위로 번갈아 받으면요?

    • 부위·세션 기준이 따로 있을 수 있습니다. 부위별 회차를 약관대로 체크하세요.

결론

핵심은 숫자 넷과 규정 셋입니다. 횟수(n), 단가(C), 자기부담률(r), 최소공제(D)를 넣고, 회차·상한·요건을 확인하세요. 그다음 포함/미포함 두 안의 월 실납부액을 비교하면, 도수·체외충격파·주사 비급여 보장/제한 정리가 끝납니다. 감이 아니라 숫자로 고르면 실수가 줄어듭니다.

다음 이전